民謠保管函

[스크랩] 신민요 `삽살개 타령`, `추풍낙엽` / 李花子(1939年 SP 음원)

bsk5865 2011. 11. 24. 21:18

                                                                                                                                                                                                                                                               

 

                                                                                                                                                                                                                                           

 

 

 

오늘은 일제 강점기 시대의 신민요를 들어보려 합니다.

 

일제강점기에 많은 분들이 신민요를 불렀습니다.

그 중에서도 첫 손에 꼽을 수 있는 신민요를 대표하는 가수로 

남자 가수는 '김용환', 여자 가수는 '이화자'를 꼽습니다.

'이화자'는 많은 신민요를 불렀고, 그녀가 세상을 떠난 후에,

많은 가수들이 그녀의 노래를 불렀습니다.

 

그러나 세월의 흐름속에서 '이화자'란 존재는 사라지고

노래만 남아 있어 아쉽게도

사람들은 그녀를 음악사적 존재로만 어렴푸시 기억하며

그녀의 노래를 듣는 것 같습니다.

 

'이화자'가 부른 신민요의 명곡으로는

<추풍낙엽>, <앞강물 흘러흘러>, <관서신부>, <꼴망태 목동>,

<가거라 초립동 (1941)>, <겁쟁이 촌처녀 (1939)> 등 많은 노래가 있으며,

또한 경기소리를 제대로 발성한 창법의 

경기소리 ‘노래가락’(1940)도 유성기 음반에 녹음했습니다.

 

그녀는 또 일제 강점기 기생들의 삶을 대변한 '화류춘몽'이란 노래를 불렀고,

일제 말기에 그 누구도 피해갈수 없는 당시 많은 가수들이 그랬듯이

군국가요 ‘결사대의 안해(아내)를 부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신민요의 역사를 둘러볼 때,

'이화자'를 신민요 최고의 여가수로 꼽는데 주저하는 사람은 없는 것 같습니다.

 

 

 

                                                                                                                         

 

李花子( ? ~ 1950)

 

 

 


♣ 작사가, 작곡가, 가수, 모두 세상을 등지고, 노래만 남은 '삽살개 타령'...

 

"삽살개타령"은 '조명암' 작사, '김영파' 작곡으로

1939년 9월 오케 레코드를 통해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작사가 '조명암'은 1948년 월북하게 되고,

이 노래를 작곡한 '김영파'는 실제 '김용환(金龍渙,1909년~1949년)'으로

그는 일제강점기에 신민요가수로서 크게 활약을 했으며,

작곡가로는 '김영파, 김탄포, 조자룡'이라는 예명을 사용했고

1949년에 자동차 사고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래서 "삽삽개타령"은 그 이후,

남쪽 땅에서 작곡가도 작사가도 없이 노래만 남은 노래가 되었죠.

 

한편, 이 노래를 부른 가수가 '이화자(李花子)'인데,

인천 권번의 기생으로 알려져 있고,

(어떤 이는 ‘기생’보다 못한 부평 출신의 ‘작부’로 말하는 사람도 있음)

그는 노래를 잘 불러서 오케레코드에 발탁이 되어서,

많은 신민요를 불렀는데, 1950년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노래의 가사를 보면 사랑하는 사람을 기다리는 마음이

진솔하게 그려져 있고,

멋진 운율과 함께 사자성어가 등장을 해서, 시적인 운치와 격조를

함께 느낄 수 있게 합니다.

 

2절 중간 부분에 백마금편(白馬金鞭)이란 말이 나오는데,

이런 표현은 허난설헌의 시(규원가)에도 등장을 합니다.

즉, 백마 = 하얀 말과, 금편 = 금으로 된 채찍을 뜻하는데,

백마금편이란 호사스런 행장을 한 지체 높은 남자를 뜻하는 표현입니다.

 

꿈에서라도 만나고픈 사랑하는 사람이 어느 날 나타날 때,

개가 짖지 말고, 그를 몰래 만나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는 노래,

<삽삽개타령>을 들어보세요.

 

 

신민요'삽살개 타령'(1939) - 李花子

 

 ♠ 삽살개 타령

 

                                                                                                     개야 개야 삽살개야 삽살개야 삽살개야

                                                                                                     가랑잎만 벗석해도 짖는 개야

                                                                                                     청사초롱 불밝히고 정든님이 오시거든

                                                                                                     개야 개야 삽살개야 개야 개야 삽살개야

                                                                                                     이 가이(개) ~ (멍 멍 멍 멍) 짖질마라

 

                                                                                                     개야 개야 검둥개야 검둥개야 검둥개야

                                                                                                     독수공방 잠 안올때 짖는 개야

                                                                                                     백마금편 말을 몰아 정든님이 오시거든

                                                                                                     개야 개야 검둥개야  개야 개야 검둥개야

                                                                                                     이 가이(개) ~ (멍 멍 멍 멍) 짖질마라

 

                                                                                                     개야 개야 삽살개야 삽살개야 삽살개야

                                                                                                     팔베개로 꿈 꿀때 짖는 개야

                                                                                                     산정파한 그리운 님 남 모르게 오시거든

                                                                                                     개야 개야 삽살개야 개야 개야 삽살개야

                                                                                                     이 가이(개) ~ (멍 멍 멍 멍) 짖질마라

 

 

 

♣ 추풍낙엽

신민요'추풍낙엽'(1940) - 李花子

 

♠ 추풍낙엽

 

                                                                                                      간다고 서를 마소 간다고 서를 마소

                                                                                                      추풍낙엽 휘몰아치는 원정령 서낭님께

                                                                                                      그대 마음 이내 마음 변치말라 하고

                                                                                                      길이 길이 길이 길이 빌고를 간다

 

                                                                                                      간다고 서를 마소 간다고 서를 마소

                                                                                                      안개구름 휘몰아치는 원정령 산신님께

                                                                                                      그대 청춘 이내 청춘 늙지말자 하고

                                                                                                      지극 정성 지극 정성 빌고를 간다

 

                                                                                                      간다고 서를 마소 간다고 서를 마소

                                                                                                      서리바람 휘몰아치는 원정령 고개 만리

                                                                                                      넘어드는 내 발길을 가지말라 하고

                                                                                                      빗방울이 빗방울이 훼사를 논다

 

 

 

 

 

 

 

 

 

111124...iph

 

 

 

 

출처 : 엔카 컴나라
글쓴이 : 치자香 원글보기
메모 :

'民謠保管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리랑연곡, 새아리랑 / 김용우 노래  (0) 2011.12.24
회심가/송소희  (0) 2011.11.26
國樂人 김영임의 그리운 노래 3곡 모음  (0) 2011.08.20
한량무  (0) 2011.08.11
김용임 민요디스코 메들리  (0) 2011.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