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낸사람 : 演好마을 운영자 12.01.14 21:22
우리나라는 고대 삼국 시대 부터 청야입보(淸野入堡) 전술을 조선 시대까지 사용하였습니다.
즉 적이 사용할 수 있는 들을 없애고 방어에 유리한 성안으로 들어가 멀리서 온 적들에게
지속적인 소규모 습격으로 요인 암살,식량창고 방화 등으로 공격하여 적이 쉬지 못하게 하고 군량 등의 부족으로 지치게 하여
결국 성안에서 전력을 보강하여 지친 적을 다시 공격하는 것 입니다.
산성에는 창고에 식량을 비축하고 둔전을 하며 전투력을 향상 시킵니다.
산성에는 물이 또한 많아야 하엿습니다.
이러한 여러 사항을 고려 할때 남한 산성은 최고의 산성이지만,
병자호란 때 인조가 얼마 못 버티고 항복한 것은 청태종이 평양성을 우회하여
한양으로 막바로 왔기에 조선조정은 허둥대고 왕족은 강화로 피난하였으나 청에 포로가 되고
남한 산성 또한 충분한 준비를 할 시간적 여유가 없었기 떄문이었습니다.
결국 인조는 굴욕적인 삼전도에서 항복을 하였습니다.
배수구
시구문... 시체를 처리하는 문
배수구 안쪽
배수구 바깥쪽 ....물의 낙차가 성벽에 피해를 안주게 정교하게 설계
경천사
성 외곽의 옹성으로 나가는 암문
대포를 설치하는 곳
x-text/html; charset=iso-8859-1" x-x-allowscriptaccess="sameDomain" allowNetworking="internal" autostart="true" volume="0" loop="-1">
演好마을
http://cafe.daum.net/enka6300
'文物寫眞函'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南漢山城 城郭 一周(3,북문-연주봉 옹성-서문) (0) | 2012.01.16 |
---|---|
南漢山城 城郭一周 (2,신지옹성-북문) (0) | 2012.01.15 |
신비스런 청송 주산지의 가을 모습 (0) | 2012.01.10 |
백령도(白翎島) 메일에서 (0) | 2012.01.03 |
인당수가 있는곳 "白翎島" (0) | 2011.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