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낸사람: 演好마을 운영자 12.12.02 17:10
성삼문 이야기
|
성삼문 초상
성삼문은사육신중 한사람이다.
조선 4대 임금세종대왕의 뒤를 이은 문종(문종)이 재위 2년 만에 병사하자
그 아들 단종(端宗)이 열두살의 나이에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단종의 숙부인수양대군이 단종을 보필하던 3정승을 죽이거나 귀양보내고
자기동생 안평대군도 강화도로 내 쫓아 죽인 후 정권을 장악한다.
이것이 계유정난이다.
수양대군의 기세에 몰린 단종이 재위 3년만에 왕위를 넘겨주자
수양대군은 임금이 된다.이 같은 수양의 행위에 대해
집현전학사 성삼문과 박팽년(朴彭年), 이개(李塏), 하위지(河緯地),
유성원(柳誠源), 유응부(兪應孚)등이 단종 복위와 반역파숙청을 도모한다.
성삼문 사당
세조 6년,
명나라 사신들을 접대하는 잔치가 궁궐에서 열리자 성삼문등은
이 기회에 일을 일으키려고 했으나 같이 거사를 하기로
약속한 김질(金礩)의 고발로 세조에게 잡혀 극형에 처해진다.
이일로 단종은 노산군(魯山君)으로 떨어져 영월에 귀양가서
죽는 비운의 역사가 시작된다.
성삼문은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할 때 요동에 귀양와 있던 음운학자 황찬(黃瓚)을
13번이나 만나러 다닐 정도로 열성적 학자였다
. 그도 단종 복위에 앞장섰으나 발각돼 39세를 마지막으로 처형됐다.
성삼문이거사실패로 잡혀 고문을 받을 때 세조가 묻는다.
거취를 분명히 하라고, 그러자 성삼문은
이몸이 죽어가서 무엇이 될꼬하니
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 되었다가
백설이 만건곤할제 독야청청하리라
라고 답해버린다.
세조는 죽기를 각오한 성삼문의 의지를 알게 됐다.
또 세조가 성삼문을 직접 심문할 때도 끝내 왕이라 부르지 않고 나으리 라고 불렀다.
세조가 다시 묻는다.“ 네가 나를 나으리라고 하니 그럼 내가 준 녹봉(급여)은 왜 먹었느냐” 그러자 성삼문은“상왕(단종)이 계시는데 어찌 내가 나으리의 신하인가.당신이 준 녹은 하나도 먹지 않았으니 내 집을 수색해보라”고 했다.
세조가 명하여 집을 수색하니 즉위 첫날부터 받은 녹봉에 어느 날 받은녹이라고 표시를 해 전부 그대로 보관돼 있었다.이런 태도에화가 난 세조는 쇠를 불에 달궈 단근질로 성삼문의다리를 뚫고 팔을 지졌으나 “ 쇠가 식었구나, 다시 달구어 오라”고 성삼문이 말한다. 국문을 마치고 수레에 실려 형장으로 가면서 또 한수의 시를 읊는다.
북소리 둥둥 이 목숨 재촉하는데
돌아보니 지는 해는 서산을 넘네
저승으로 가는 길엔 주막도 없다는데
이 밤은 어느 집에서 쉬어 갈수 있을까
돌아보니 어린 딸이 울면서 따라온다.
ㅅ
사당의 현판
성삼문은
“사내아이는 다 죽어도 너만은 살겠구나” 하면서 목이 메어 말을 잊지 못했다.
당시 역적들은 삼족을 멸하거나 남자들은 죽이고 여자들은 노비를
삼았기 때문이다. 성삼문은이날 이개, 하위지, 유응부 등과 함께 처형됐다
비석
성삼문은
시호 충문(忠文). 사육신의(死六臣) 한 사람이다.
1418년(태종 18년) 무관 성승(成勝)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우/좌부승지(右/左副承旨) 등을 역임했다.
1442년 박팽년(朴彭年)·신숙주·하위지·이석정(李石亭) 등과 삼각산 진관사(津寬寺)에서사가독서(賜暇讀書)를 했고, 한글의 창제를 위해 정음청(正音廳)에서
정인지(鄭麟趾)·최항(崔恒)· 박팽년·신숙주·강희안(姜希顔)·이개(李塏) 등과 함께 요동(遼東)에 유배되어 있던 명나라의 한림학사(翰林學士) 황찬(黃瓚)에게 13번이나 내왕하면서 음운(音韻)을 질의하고 다시 명나라에 건너가 음운 연구를 겸하여
맹첨(孟詹)·맹년(孟年)·맹종(孟終)과
여자들은 모두 노예가 되었다.
성삼문의 묘소
1691(숙종 17)년에
'歷史人物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일성을 실신시킨 전두환 대통령 (0) | 2012.12.17 |
---|---|
[太祖] 태조 이성계 이야기 (0) | 2012.12.04 |
[秋史 金正熹] 이야기 (0) | 2012.11.28 |
[元曉大師] 원효대사 이야기 (0) | 2012.11.24 |
[김만덕] 제주 김만덕 이야기 (0) | 2012.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