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낸사람 : 장두해 13.02.06 23:24
(棗栗梨枾)에 담겨진 심오한 뜻
棗栗梨枾)에 담겨진 심오한 뜻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이 나는 것이 천지의 이치인데 감만은 그렇지 않다. 감의 씨앗을 심으면 감나무가 나지 않고 대신 고욤나무가 나는 것이다. 그래서 3~5년쯤 지났을 때 기존의 감나무를 잘라서 이 고욤나무에 접을 붙여야 그 다음 해부터 감이 열린다. 감나무가 상징하는 것은 사람으로 태어났다고 해서 다 사람이 아니라 가르치고 배워야 비로소 사람이 된다는 뜻이다. 가르침을 받고 배우는 데는 생가지를 칼로 째서 접붙일 때 처럼 아픔이 따른다. 그 아픔을 겪으며 선인의 예지를 받을 때 비로소 하나의 인격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감나무는 아무리 커도 열매가 한번도 열리지 않은 나무를 꺾어 보면 속에 검은 신이 없고, 감이 열린 나무는 검은 신이 있다. 이것을 두고 부모가 자식을 낳고 키우는데 그 만큼 속이 상하였다 하여 부모를 생각하여 놓는다고 한다. 감은 씨가 8개여서 8방백 <8도 관찰사, 8도 감사>를 뜻한다. 8도 관찰사가 후손에 나오라는 의미이다. 이상과 같이 제사상의 주된 과일로 대추, 밤, 배, 감이 오르는 것은 이들이 상서로움, 희망, 위엄, 벼슬을 나타내는 전통적 과일이기 때문이다. [펌] Click! 병 안걸리고 오래 사는 법 |
Click! BBC 다큐 성모마리아(2부)
Click! BBC 다큐 성모마리아(3부)
Click! BBC 다큐 성모마리아(4부
'歲時風俗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固有의 절하는法을 子息들한테 敎育을- (0) | 2013.02.11 |
---|---|
새해의 德談과 歲拜에 對하여 生覺해 본다 (0) | 2013.02.11 |
입춘(立春) (0) | 2013.02.04 |
[立春] 입춘(立春)/ 2월 4일(월) (0) | 2013.01.31 |
[小寒] 소한(小寒) 이야기 (0) | 2013.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