健康情報函

[腎臟病] 콩팥병란 무엇인가

bsk5865 2016. 3. 29. 08:22

보낸사람 : 엔카 컴나라 운영자 16.03.29 06:34



콩팥병란 무엇인가|◈...자 유 게 시 판

박인명 | http://cafe.daum.net/yooin32/6rkh/

 

◆콩팥병이란 무엇인가?

 

인체의 콩팥(신장)은 아기 주먹만한 크기로 허리뼈 좌우에 두개씩 있는데

두개를 합쳐도 무게는 300g 내외일 정도다. 심장은 1분에 약 1리터의

혈액을 콩팥에 전달한다. 콩팥으로 들어온 혈액은 둥근 실타래처럼

얽혀있는 사구체에 의해 걸려지고 남은 노폐물은 소변으로 배설된다.

이렇게 콩팥에서 하루에 걸려지는 혈액의 양이 약 200리터에 달한다.

 

]--> 작지만 중요한 장기 콩팥을 알자

endif]-->

이외에도 콩팥은 몸에 필요한 당과 아미노산등을 흡수하고, 인체의 수분과

전해질량, 산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또 혈압을 조절하고,

적혈구 생성을 도우며, 뼈를 튼튼하게 만드는 일도 콩팥의 주요 기능이다.

 

  작지만 重要한 臟器 콩팥

 

이런 콩팥은 당뇨병, 고혈압, 비만, 사구체신염, 동맥경화증, 노화 등의

원인으로 손상을 입게 되는데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서 병에 걸렸다는

사실을 인지하기 어렵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빈뇨, 잔뇨, 급박뇨 등의

배뇨에 이상이 생기거나, 소변량이 많아지거나 밤에 소변을 보는 횟수가

증가하고, 거품뇨, 혈뇨 등의 증상과 요통 부종이 생겼다면

콩팥병으로 의심해 볼 수 있다.

 

콩팥에 좋은 음식,,, 

 

신장의 기능 이상은 사구체여과율과 알부민뇨의 증가 여부로 판단하는데

사구체여과율이 분당 60ml이하일 경우를 만성콩팥병이라고 한다.

이런 만성콩팥병은 우리나라 성인의 약 10% 정도가 앓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며, 몇 달 혹은 몇 년에 걸쳐 콩팥 기능이 서서히 나빠지고

콩팥의 기능이 50% 이상 망가져야 이상 징후를 나타내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어렵다.

 

'10일은 콩팥의 날'.. 갑자기 밤에 일어나 오줌 자주 눈다면 콩팥병 의심

대한신장학회에서 실시한 만성콩팥병 유병률 조사 결과 대다수 국민들의

'콩팥병'에 대한 인식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유병자 중 50.3%, 고혈압 유병자의 33.3%가 자신이 환자라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콩팥병의 경우 전체 유병자의 2.8%만이 자신이

환자라는 사실을 알고 있으며, 그 중 80%의 환자는 당뇨병이나

고혈압으로 치료를 받으면서 알게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콩팥에

 

만성콩팥병은 60대부터 발병이 급증하는 질병으로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가 될수록 더욱 심각해질 수 있는 '사회적 질병'이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검진을 통해 조기에 콩팥병을 발견, 치료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renal fascia(콩팥근막) / renal fascia(detail)(콩팥근막,자세히)

 

이 질환을 일으키는 병은 당뇨병, 고혈압, 사구체 신염 등이 약 90%

차지하고 나머지는 상염색체 우성 다낭성 신증, 요관 역류에 의한 만성

신우신염, 간질성 신염, 통풍성 신염 등이 차지한다.

 

생로병사의 비밀 생명의 필터, 콩팥 

 

만성콩팥병의 가장 큰 문제는 이 병이 계속 진행하여 결국 말기 신부전이 되면 투석이나 이식을 하지 않고서는 살 수가 없다는 것이므로

병을 적극적으로 치료해 투석이나 이식으로 가는 것을 막거나 늦춰야 한다.

아쉽게도 현대 의학은 만성콩팥병의 악화를 완전히 억제하거나 그 기능을

원상회복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지 못한 상태다. 그러나 열심히 치료하면

투석이나 이식을 시작하는 시점을 최대한 늦출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의 수명 동안에 투석이나 이식 없이 지낼 수도 있다.

 

콩팥(신장)에 좋은 음식과 7가지 생활 수칙

 

당뇨병과 만성콩팥병

만성콩팥병의 치료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합병증을 치료하는 것이고, 둘째는 악화요인을 정확히 알고

예방이나 주의를 하는 것이며, 셋째는 식이요법이다. 이러한 치료로

만성콩팥병이 악화하는 것을 부분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투석이나

이식을 시작하는 시점을 최대한 뒤로 미룰 수 있다. 다음은 현재까지

알려진 만성콩팥병의 진행을 늦추는 방법이다.

 

침묵의 살인자 콩팥(신장)질환

 

적절한 혈압 조절이 중요

콩팥병의 진행에서 혈압을 조절하는 문제는 더 이상 강조할 수 없을

만큼 중요하다.

혈압을 적절히 조절했을 때와 그렇지 못했을 때의 콩팥병 진행 정도

 차이와 혈압 조절이 잘 될 때의 콩팥병 억제 효과는

이미 수많은 연구에서 증명되었다.

혈압은 얼마까지 낮추는 것이 좋을까? 현재까지 연구결과로는 환자가

견딜 수 있는 한 혈압을 최대한 낮추는 것이 좋다고 되어있다.

 

콩팥에 좋은 음식!

 

특히 단백뇨가 많은 환자의 경우 혈압 조절로 콩팥병의 진행 억제 효과를

더 톡톡히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혈압 조절을 위한 특별한 고혈압약이

있을까?

꼭 그렇지는 않지만 콩팥병과 연관되어 심장질환, 전립선 비대증, 천식,

당뇨병, 지질대사 이상 등의 질환을 동반하고 있는지 여부와 각 고혈압제의

부작용 등을 감안하여 전문가가 혈압약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신부전증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단백뇨를 억제하는

혈압약이 있으므로 단백뇨가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약을 선택해야 한다.

 

당뇨 환자 콩팥병 조심해야 한다, 당뇨병 환자 3명 중 1명은 콩팥에 이상이 있다.

 

 악화를 억제하는 약물 복용

여러 임상 연구를 통해 콩팥병의 악화를 억제하는 약제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혹은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가 알려져 있다.

이 약물이 단백뇨를 줄여주고 콩팥병의 악화를 유발하는 TGF-β라는

싸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해줌으로써 콩팥병의 악화를 억제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약제는 혈압을 낮추는 효과도

있어 고혈압제제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마른기침을 하거나 일시적인

신기능 감소, 고칼륨혈증, 빈혈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혈액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

 

KBS1 '생로병사의 비밀' 소리없이 망가지는 콩팥

 

식이요법- 단백질 섭취 줄여

식이요법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 단백질 섭취량이다. 단백질은 섭취 후

몸 안에서 대사되어 요독으로 작용하기도 하고 콩팥으로 빠져나가면서

콩팥을 상하게 하는 특성이 있다. 이런 이유로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과량의 단백질 섭취는 좋지 않다. 국내 일반 성인의 단백질 섭취량이

몸무게 1k 1.2그람으로 알려져 있는데 반해 만성콩팥병 환자에게는

0.7~0.8그람을 권장한다.

 

콩팥을 지키는 명약! "산수유"

 

건강한 성인이 고기 두 점을 먹을 때 한 점 정도 먹는다고 보면 된다.

단백질이 많이 포함된 음식물로는 각종 고기류, 계란 · 우유 · 치즈 등의

유제품, 두부 · 콩비지 등의 콩으로 만든 식품이 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이미 혈액 속에 단백질이 적은 경우, 즉 영양상태가

안 좋은 경우에는 저단백 식이가 오히려 안 좋다.

이 때에는 오히려 저단백 식사로 생기는 영양실조 때문에 콩팥 기능도

더 악화되고 다른 합병증을 좀 더 빨리 부를 수 있기 때문이다.

 

신장 건강을 위한 콩팥병에 좋은 음식

 

식이요법- 싱겁게

가능한 한 싱겁게 먹는 것이 콩팥병의 악화를 억제하는 약물인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의 항단백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국내 일반 성인의 나트륨 섭취량이 5~6그램인데 반해 만성콩팥병에서

권장되는 나트륨 섭취량은 2~3그램(염분으로는 5그램)이다. 즉 건강한

성인이 먹는 음식에 넣은 간의 절반만 넣어야 한다.

이러한 음식이 익숙하지 않아 처음에는 아주 먹기가 곤란하겠지만 차츰

적응해 나갈 수 있으며, 소금대신 달거나 시게 혹은 조금 맵게 등

다른 방법으로 간을 하는 방법도 있다. 갑자기 음식을 싱겁게 먹으려다

오히려 식사량이 줄어드는 경우가 있는데 이 또한 좋은 방법은 아니다.

자신이 견딜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다. 물은 소변량이

2리터를 넘을 정도로 과하게 섭취하지만 않으면 되고 너무 제한할

필요는 없다.

 

콩팥에 좋은 음식 3가지

 

 식이요법- 칼륨,인산 섭취 제한

칼륨은 체내에서 신경과 근육의 작동을 돕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콩팥이

나빠지면 칼륨 배설이 제한되어 근육 쇠약, 부정맥 등의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바나나, 오렌지, 견과류, 감자 등의 칼륨 함량이 높은 음식은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좋으며, 달걀, , 콜라 등의 탄산음료는 인산

성분 함유량이 높은데 인산은 체내에서 콩팥병의 악화를 촉진시키고,

신성골이양증을 발생시킬 수 있어서 섭취에 주의하여야 한다.

 

콩팥의기능 신장의기능 이정도..

 

생활 속 주의 사항들

당뇨병 환자는 철저한 혈당 조절로 콩팥병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혈당을 잘 조절해야 하고, 저비중지단백 콜레스테롤을 120 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두말할 나위 없이 술과 담배는 신장 기능을

악화시키므로 금해야 한다. 그리고 만성콩팥병 환자는 소염 진통제를

남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진통제중 비스테로이드 계통 항염증제제(일반적으로 쓰는 대부분의

진통제)의 경우 한두 번 복용하는 것은 괜찮지만 장기간 사용하면

콩팥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콩팥의 기능, 콩팥이 안좋으면....

 

만성콩팥병 환자에서 빈혈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교정해야 한다.

만성콩팥병에서 생기는 빈혈은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 콩팥

에서 정상적으로 생성되는 「에리트로포이에틴」이라는 호르몬이 부족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이 호르몬을 직접 투여해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에리트로포이에틴 호르몬 투여는 국내 의료보험 규정상 투석

환자에서만 보험 인정이 되어 만성콩팥병 환자에서는 경제적인

부담이 될 수 있다. 끝으로 만성콩팥병 환자의 상태에 따라 규칙적인

진찰과 혈액 및 소변 검사 등을 하면 의사가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무리한 운동,고단백식단이 내 콩팥을 망가트린다네요.ㅠ.ㅠ

 

위에 열거한 방법들을 충실히 지키면 만성콩팥병 환자도 투석이나

이식을 시작해야 하는 시점을 최대한 늦춰 건강한 생활을 누릴 수 있다.

 

/ 도움말 : 강북삼성병원 신장내과 이규백 교수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이원영 교수

아주대학교병원 신장내과 김흥수 교수

 

/ 헬스조선 방송팀

 

콩팥을 지키는 명약! "산수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