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전 조회 943 추천 1 2014.10.09. 00:46 http://cafe.daum.net/foliagw/77iU/19235
★★★** 대한민국 언론의 추락 /卞鐘和 前 在美기자
前 在美기자의 기고: 대한민국 언론의 추락
卞鐘和(前 在美기자)
나는 어렸을 때 동대문 옆 축대 위의 주택에 살았다. 축대 밑에는 공중변소(지금은 공중 화장실)가 있었다. 변소 벽에는 항상 낙서가 쓰여 있었다. 예를 들면 “철수는 영희와 x했다.” 하루에 이 글을 읽는 사람은 몇 십 명 정도였을 것이다. 다음날은 다른 낙서가 오르게 마련. 그건 그때 상황. 지금은 어떤가? 공중변소의 낙서와 광화문에서 발행되는 <동아일보>가 동등한 사회적 인용력을 갖는 것이 현실이다.
이번 윤창중 사건을 보도하는 한국의 언론상은 그 전문성의 결여로 말하면 공중변소 낙서 인용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기사 작성의 철칙은 ‘정확성’ 이다. 그 정확성을 뒷받침해줄 최소한도의 노력은 ‘2인 확인제’이다. 적어도 두 사람이 현안에 대해 사실 확인을 해줘야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번 사태에서 나타난 것은 ‘동대문 공중변소’에는 이렇게 쓰였고, ‘서대문 공중변소’에는 이렇게 저렇게 쓰였다는 식의 속보의 연속이었다.
미국의 법집행 절차에 대한 無知(무지)도 크게 한 몫했다. 워싱턴 경찰이 검찰, 혹은 연방 검찰의 수사지휘를 받게 될 것이라든가 신고는 경범으로 취급되었으나 ‘중범 수준’으로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든가, 혹은 신고자가 일반 경찰 전화가 아닌 911으로 신고한 것은 모종의 긴박한 상황이 있었을 것이라든가…. 도대체 한국 기자의 상식의 한계성을 이만큼 단시일 내에 만 천하에 공개한 사건은 전례가 없을 듯하다.
우선 검찰의 수사지휘 운운 부분. 일반적으로 미국 검찰은 수사를 지휘하거나 수사에 직접 개입하지 않는다. 수사는 경찰이(연방 범죄일 경우 FBI) 전담하며 수사결과가 검찰에 송부되면 체포 여부를 결정하여 판사가 체포영장에 사인할 때 비로소 한국사법제도의 ‘立件(입건)’이 성립되는 것이다. 그것도 피의자가 처음으로 법정에 출두하여 본인의 유죄/무죄에 관한 진술 (Arraignment)시까지는 ‘피고(Defendant)’가 아닌 ‘피의자(Suspect)’의 신분을 유지한다.
911 신고가 사태의 긴박성을 암시한다는 소설 같은 기사는 수백만 在美(재미) 韓人(한인)의 苦笑(고소)를 받기에 충분한 작품이었다. 미국에 살면서 응급시 911 아닌 경찰번호로 신고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일곱 살짜리 아이들도 아는 사실 아닌가? 미국 어느 곳에서 라도 911을 돌리면 발신지 추적으로 우편번호나 주소 등이 파악되고 따라서 관할 경찰/소방서에 사건이 즉각 배당되는 것이다.
연방 검찰이 이 사건을 떠맡을 수도 있다는 보도 역시 무지의 소치라 볼 수밖에 없다. 연방 사법제도는 한 사안에 두 개 이상의 州(주)가 개입되었을 경우, 연방 헌법 위반 행위, 위조지폐, 납치 등 특수 사안에 한해 개입한다. 기타 형사 처리 책임(경범이건 중범이건)은 3심제 주법원의 소관이다.
‘성폭행’-이것은 한 웹사이트에 올라온 글이었다. 이것이 핵폭탄의 뇌관이 된 것이다. 성폭행은 일반적으로 강간을 의미한다. 그것에 미치지 않는 행위는 ‘성추행’으로 처리된다. 그런데 미국의 형법 제도는 그 이상의 세분화 된 정의를 내리고 있다. 형사 재판정 입구에 게시된 당일 사안에 ‘강간’이나 ‘성추행’은 없다. 단지 CSC FIRST DERGEE (Criminal Sexual Conduct First Degree)-‘1급 성범죄’로 표기 된다. 사안의 경중에 따라 2~5급 등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CSC 1급은 최고 무기형이다. 사형제도가 아직도 존재하는 주에서는 사형까지 언도될 수 있다.
이번에 처음 제보한 ‘미씨USA’ 회원은 ‘성폭행’으로 글을 올렸다. 한국의 고위 공직자가 인턴여성을 강간(CSC 1급)했다는 내용이었다. 최고 사형 내지 무기징역에 해당하는 중범으로 신고 된 것이다. 거기에는 강제에 의한 삽입이 따라야 한다. 그냥 엉덩이를 만졌다는 피의자의 진술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어 보인다. 일단 ‘강간’의 범주에서는 떠나있는 것으로 보인다. 제보자가 무지의 결과로 CSC 1급의 엄청난 파급 효과를 인지 못했을 가능성을 고려해보고 싶다. 만약 알고도 그랬다면 응분의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다.
나는 이 사태가 어떻게 귀결날지에 대해서는 예측하고 싶지 않다. 단지 한국 언론의 건강, 자정능력, 전문성, 원칙고수 의지 등의 쇠퇴가 심히 우려되는 바이다. ‘발로 쓰는 기사’의 소멸이 안타깝다. 1970년대 미국의 언론계는 사상 최고의 사회적 위상 을 누렸다. 바로 <워싱턴 포스트>誌(지)의 ‘워터게이트 폭로’ 기사로 대통령이 사임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당시 미국 각 대학의 신문학과는 전대미문의 호황을 누렸다. 그 당시 <워싱턴 포스트> 기자 밥 우드워드와 찰스 번스틴은 모든 젊은이들의 꿈이요 우상이었다.
필자는 당시 20대로 미시간주의 한 지방 신문에서 정치/법원 담당 기자로 근무할 때였다. 공화당의 로널드 레이건 후보의 모금을 위한 옥수수 구이 파티가 열렸다. 취재기자는 응당 회비를 안내는 것으로 인식될 때였지만 왠지 그렇게 하는 것이 옳은 일인 것 같아 회비를 지불했다. 이것이 나중에 민주당 후보측의 신문사에 대한 편파성 의혹제기에 대처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을 보면 정치적 사안이라는 것은 이렇게 사소한 주의력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미국뿐 아니고 全(전) 세계적으로 인쇄 매체가 몰락의 길을 걷고 있다. 필자가 근무하던 신문도 120년의 역사를 접고 온라인으로 전환했다. 내가 작성한 기사 수천편도 현지 공립도서관으로 이관되었다. 내가 쓴 기사를 열람하려면 편당 3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그러나 은퇴한 지금 가끔씩 그 기사들을 꺼내보며 취재당시의 열정을 되새겨 보곤 한다. 오늘의 기자들은 그 열정 대신 무엇을 가지고 있는가? 기민성, 신속성, 네트워킹, 상상력, 그리고 재구성의 괴력….
이번 사건의 보도행적을 바라보는 그 많은 신문학, 언론학 교수들, 국내 해외에서 많은 연구를 쌓으신 분들, 왜 이리 잠잠들 하신지? 언론자유의 최대의 敵(적)은 외부의 간섭이다. 그러나 그것은 自淨(자정)능력의 확립을 전제로 한 것이다. 自淨능력의 구성 첫 단계로 ‘별표 제도’를 실시함이 어떨지? 호텔업계에서는 이미 全세계 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소비자의 판단을 도와주는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가령 <동아일보>는 별 5개, 변두리 주간지는 별 1개. 동대문 공중변소는??
변 종 화(卞鐘和) cwpyen@yahoo.com" target=emptyframe>cwpyen@yahoo.com
1969~1977 미국 미시간주 <입실랜티 프레스>지 정치부 기자
1977~2006 미국 미시간주 <앤아버 뉴스>지 기자
-주요취재 보도분야
각급 지방자치정부, 법원, 연방 범죄 수사기관, 환경문제, 인종관계, 소비자 보호, 노사관계, 각종 선거 취재, 도시계획 및 지역개발 정책, 세금제도, 인구문제, 논설위원실
2006~현재 Fourth Dimension Initiative (communications consulting) 대표
2008~현재 Director of Community Relations, The Center for Pan Asian Community Services, Atlanta, GA, USA
보도상
AP 보도상, UPI 보도상, IDPA, Unity, NNA 등 우수보도상 수상
학 력
서울고, 서울 문리대 영문과 졸업, 미국 시라큐스대학 Journalism 석사
기 타
미국연방민권위원회 기술용역제공
The Korean-American Journalists Association 창립회원
The Asian-American Journalists Association 회원
한국신문, 잡지 수시기고
이중문화, 이중언어 관련 특강실시
한영/영한 번역, 통역 활동
[ 2013-05-20, 10:55 ] |
| ||||
| ||||
| ||||
| ||||
| ||||
| ||||
|
한국 언론은 왜 이렇게 左傾化됐나?
金成昱
2. 구체적 원인은 主思派(주사파)가 지배했던 80년대 학생운동에 있다. 학생운동 세례를 받은 이들의 언론계 진출, 80년대 후반부터 활성화된 언론노조 운동이 從北세력에 프락션 당한 결과다.
80년대 주사파가 가장 역점을 두고 진출한 영역이 교육과 언론이었다. 주사파 출신들은 敎師(교사))와 記者(기자)로 진출할 학생은 ‘投身(투신)팀’에 소속시켜 특별교육을 시켰다고 증언한다. 그렇게 형성된 從北的(종북적) 흐름이 만들어 낸 것이 전교조였고 언론노조였다.
3. 2000년 출범한 언론노조는 116개 지부와 1만7,483명의 조합원을 가진 조직이다. 언론노조에 소속된 1만7,483명의 ‘입’이 떠들기 시작하면 거짓을 진실로, 진실로 거짓으로 둔갑시킬 수 있다. 언론노조는 민통당·통진당 등과 연대해 각종 선동에 앞장서왔다. 특히 인터넷 콘텐츠 유통권력을 장악한 포탈과 연계, 인터넷 여론을 좌지우지 하고 있다.
언론노조는 민주노총 산하이며 민주노총은 주한미군철수·국가보안법철폐·연방제통일 등 북한의 對南노선을 따라간다. 언론노조 역시 從北노선이다. 북한의 천안함 폭침 이후 집요하게 음모론을 제기했고 2010년 5월19일 ‘북한 도발’로 발표가 나가자 “앞으로 검증위 활동을 보다 치열하게 펼쳐 나갈 것(2010년 5월26일)”이라는 성명을 냈다.
2006년 10월9일 북한의 핵실험 이후엔 “전국언론노동조합의 ‘입장’은 이번 사태의 가장 큰 책임이 미국에 있다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며 “미국은 위폐 문제 등을 제기하며 시간 끌기를 하다 지금의 사태를 초래한 장본인”이라고 비난했다.
언론노조는 이른바 조선·중앙·동아를 제외한 대부분 매체가 소속돼 있다. 경향신문·경향닷컴·국민일보·뉴시스·디지털타임스·문화일보·서울신문·스포츠서울데일리·연합뉴스·일간스포츠·한겨레신문·한국일보·헤럴드미디어·한국경제신문 및 심지어 스포츠조선도 언론노조 소속이다.
지방지는 경기일보·경남도민일보·경남신문·경남일보·경상일보·경인일보·광주일보·국제신문·남해신문·매일신문·부산일보·영남일보·인천일보·전남일보·제민일보·충청타임즈·구로타임즈·뉴스서천·무진장신문·보은신문·부안독립신문·옥천신문·완도신문·자치안성신문·장성군민신문·충청리뷰·태안신문·한라일보·금강일보 등이 소속돼 있다.
방송사로 KBS·MBC·SBS·EBS·YTN·mbn·CBS·아리랑국제방송·원음방송·한국디지털위성방송·경기방송·광주방송·대구방송·대전방송·영서방송·울산방송·전주방송·제주방송·청주방송·GTB·KNN·OBS 등이 소속돼 있다.
4. 언론외곽단체로 소위 조선·중앙·동아일보 비판에 주력해 온 단체로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 등의 영향력도 막강하다. 민언련은 주요 이슈 때마다 성명·논평, 장외집회 등을 통해 조·중·동의 事實(사실)보도를 공격했다.
민언련 공동대표는 2008년 광우병 난동을 주도한 從北단체인 한국진보연대의 박석운 대표다. 민언련 주장도 일관된 ‘북한 감싸기’이다. 북한의 천안함 폭침 후에는 “조중동은 천안함 사고 발생 이후 아무런 물증이 드러나지 않았는데도 ‘북한 소행’으로 몰면서 안보 위기를 부추겨왔다(2010년 5월6일)”고 비판했다.
북한 핵실험 후에는 “북한이 북미대화를 얻기 위한 협상용으로 핵실험을 강행했다는 평가가 설득력을 얻는다”며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등 수구보수신문들은 선정적인 보도로 국민들의 불안감을 부추기는 형국(2006년 10월 12일)”이라고 조·중·동 비판에 나섰다.
5. 從北化(종북화)된 언론권력이 포털과 방송을 장악해 여론을 호도한 결과, 보수매체들의 눈치보기도 심해졌다. 대한민국과 자본주의를 부정하는 從北세력에 대해선 굴종하고 ‘자유투사’들은 촌스런 極右(극우)로 매도했다. 惡(악)에 대해 타협하는 서생들을 ‘합리적 보수’로 변장시켜 대중들을 기만해왔다.
대선과정에서도 소위 보수매체들은 국가의 본질적 문제, 핵심가치(core value)는 철저히 외면해 버렸다. 문재인이 주장하는 ‘낮은 단계 연방제’, 이정희가 주장하는 ‘코리아연방제’ 등 연방제 赤化(적화)에 대해 문제제기를 한 적이 없다. 6·15선언과 10·4선언에 대해서도 침묵하긴 마찬가지다.
문재인이 주장하는 국가보안법폐지, 서해평화협력지대 등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도 설명치 않았다. 시청 앞 광장에 10만 명 넘게 모여 “NLL 사수”를 외쳐도 단 한 줄의 기사를 싣지 않지만, 오히려 TV조선 같은 매체는 장성민 등 DJ 제자들을 내세워 “연방제 통일이 뭐가 문제냐”고 선전했다. 언제나 그랬다. 소위 보수매체들도 정권이 바뀌는 민감한 시기엔 保險(보험)을 들었다. 나라가 넘어갈 위기를 보고도 이쪽도 저쪽도 아닌 중간에 서왔다.
6. 박근혜 정권의 첫 번째 미션은 언론의 정상화다. 거짓에 대한 진실 확산, 煽動(선동)에 대한 법적 대응. 거짓과 선동을 일삼는 언론이 제자리 찾기 전엔 박근혜 정부도 한 걸음을 내딛기 어렵다. 문제를 알고만 있다면 대책은 나온다.
[ 2013-05-20, 14:45 ] |
| ||||||||||||||
https://www.youtube.com/watch?v=NwS1Bw2RIUY
'퍼온글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