茅屋爲秋風所破歌.下(추풍에 지붕날리니.하)/미산 윤의섭
俄頃風定雲墨色
아경풍정운묵색: 이내 바람 그치고 먹구름 일어나며
秋天漠漠向昏黑
추천막막향혼흑: 가을하늘 아득하게 저녁 어둠이 깔린다.
布衾多年冷似鐵
포금다년냉사철: 오래된 베 이불은 차갑기 쇠와 같고
嬌兒惡臥踏裏裂
교아악와답리렬: 개구쟁이 아이들 잠버릇에 이불속 찢어젔네.
牀頭屋漏無乾處
상두옥루무건처: 지붕 새어들어 침상에 마른 곳 하나 없고
雨脚如痲未斷絶
우각여마미단절: 어수선한 빗발은 쉴새없이 흘러내린다.
自經喪亂少睡眠
자경상란소수면: 난리 겪어 지친몸 잠을 이루지 못하는데
長夜沾濕何由徹
장야점습하유철: 긴 밤을 흠뻑 젖어 어떻게 지새리요.
安得廣廈千萬間
안득광하천만간: 어찌하면 넓고 큰집 천만칸을 마련하여
大庇天下寒士俱歡顔
대비천하한사구환안: 춥고 가난한 모든사람 기쁜얼굴 갖게하고
風雨不動安如山
풍우부동안여산: 풍우에 끄떡없이 산처럼 평안히 할수 있을가.
嗚呼何時眼前突兀見此屋
오호하시안전돌올견차옥:아,언제나 눈앞에 우뚝한 집을 볼까나.
吾廬獨破受凍死亦足
오려독파수동사역족: 내 집이야 부서저 얼어 죽어도 족하도다.
.....................................................................
俄頃=얼마후 *漠漠=아득하다 *昏黑=저녁의 어둠*布衾=베 이블
*冷似鐵=마치 쇠와 같이 차다 *嬌兒=장난구러기 아이
*惡臥=나쁜 잠버릇*踏裏裂=걷어차 속이 찢어짐*牀頭=침상머리
*屋漏=집이 샌다 *雨脚如痲=빗줄기가 어수선히 떨어짐
*自經喪亂=전란을 치른후 *少睡眠=잠이 않와 부족함
*沾濕=비에 젖어 축축함 *何由徹=어떻게 밤을 새울까?
*安得=..하면 얻을까 *廣廈=넓고 큰집 *大庇=모두 비호함
*寒士=가난한사람 *俱歡顔=서로 즐거운 낯으로
*突兀=우뚝 솟은 품 *吾廬=나의 오두막 *受凍死=얼어 죽다
찢어진 이부자리위에 빗물에 어수선하게 떨어지는 침상에서
뜬눈으로 지새는 서글픔이 가득하다.
어찌하면 천만칸의 집을지어 가난한사람을 모두 구제할까?
그렇게 되면
吾廬獨破受凍死亦足(오려독파수동사역족) :
내 집이야 부서지고 얼어 죽어도 나는 족하도다.라고 하였으니
약자를 보살피는 지식인의 마음가짐이 극치를 이루고
가난한 사람에게의 관심과 위정자의 분발을 자극하고 있다.
1200년이 지난 현대에 이르도록 그 인도주의에 깊은 흔적이
재평가되고 있는 불후의 명작이라 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