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낸사람 : 소담엔카 운영자 11.06.02 16:12
6,25 한국전 최대 비극의 산물과 전쟁의 흐름을 뒤바꾼 인천 상육작전 1) 발발 동기 쏘련 군사고문단에 의하여 수립된 남침계휙서(당시 북한국 작전국장 유성철증언)를 스탈린에게 보고하고 스탈린은 모택동의 동의하는 조건으로 승인되여 북한은 하계군사훈련의 면목으로 38선 전역에 부대를 이동배치함
1950년 6,25 새벽4시경 보병1개 사단과 기갑사단 수개의 독립연대로 구성된 총병력 11만1천명과 1,610문의 각종 야포와 242대 전차를 앞세워 서헤안 웅진 반도로부터 38,선 전역에 걸처서 맹열한 기습 공격과 북한의 YAK전투기는 서울 전지역 폭격과 특히 김포 비행장을 집중폭격하여 남침 사흘만에 서울은 함락되고 전투기는물론 전차 한대도없는 우리군은 소총과 수류탄 만으로 육탄전으로 맞서 싸웠으나 기습남침 2개월만에 낙동강까지 밀려 최후의 격전지로서 최대의 위기를 맞게 되였다 한편 UN안전 보장회의 에서는 최초로 UN군 사령부 설치를 가결 사령관에 맥아더 장군이 임몀되고 UN16개국 전투 부대를 한국에 파병하여 밀고 밀리는 반격전이 계속되다 2) 인천 상육 작전의 비화 당시 미,합동참모 본부는 인천 상육작전의 성공 가능성을1/5,000로보았다 인천앞바다는 조수 간만의 차이가 크며 갯벌(좌측2개소)지대로서 성공 가능성을 낮다고 보고 맥아더 장군에게 부산에서 거까운 인천보다 남쪽에 상육 하라고 권하였으나 이작전은 극비리에 6,25전쟁 80일 만인 1950년 9월15일 미10군단을 주축으로 미제7 보병사단과 한국 해병대 3개대대 육군17연대등 UN16개국 7만5,000여명이 참전으로 투입되여 항공 모함과구축함등 261척등(미국225척한국15척 영국12척 캐나다 3척 호주2척 뉴질랜드 2척 프란스 1척밎기타등 투입되였다 3) 월미도 포격밎 공습개시 9월13일 미국,순양함 2척,구축함 6척,영국 경순양함 2척,미 77고속 항모 기동대소속 전투기 엄호아래 포격밎 공습개시 9월14,윌미도와 인천시가지 폭격 미,구축함 1시간에 15문5인지포1,732발사격 9월15일 새벽2시 화력지원대 선단과 로켓포선단 1개 해병대로 구성된 선발 공격대 발진 미제5 해병연대 3개대대 제1전차대대 9대 고속수송선 3척으로 월미도 해안 상육시도 오전5시 미,해병대 폭격기8대 월미도공습 인천시가지 해군 함포밎 항공기 폭격개시 오전 7시50분 선발공격대 월미도 완전점령-오후3시30분 주력부대 인천시가 상육작전에 성공 인천 상육작전 탈환으로 락동강 까지 밀고 내려간 북한군의 배후 병참선을(보급로) 완전 차단하는데 성공하여 전승의 -핵을- 그은 전과로 역사적 기록된다 UN군과 국군은 반격전으로 여세를몰아 서울을 탈환하고 9,27일 중앙청 옥상에 태극기를 계양함으로서 전세를 역전시켜 10월1일 38선을돌파 10월18일 국군1사단과 7사단은 평양을 탈환하고 국군 6사단은 10월26일 압록강까지 진격하였다 4) 인천 상육작전의 역사적평가 인천 상육작전은 대한민국 건국 사에도 중요한 사건이며 인천상육작전을 성공하지못 하였다면 오늘의 대한민국은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인천 상육작전은 16개 UN군에의해 수행된 집단 안전보장체제가 처음 성공한 사례라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9월15일 단행된 인천상육 작전은 6,25전쟁의 흐름을 완전히 뒤바꾼 역사적 사건으로보며 이작전이 아니였다면 당시 락동강 전투의 장기화로 인한 인명피해와 한반도의 전체가 황페화되고 초토화 되였을 것이다 5) 중국의100만 병력 한국전 투입 한편북한 김일성은 전세의 긴박성을 중국 모택동 에게 긴급참전병력을 구원증파 요청 함으로서 모택동은 100만 병력을 한국전 에투입 인해전술로 국군과 UN군은 후퇴 할 수밖에 없었다 12월24일 국군과 UN군은 포위망을 뚫고 흥남에서 합류한 피란민과 철수 서울시민은 또다시 피란길에 오르고 1951년3월15일 서울을 재탈환하고 38선 일대에서 밀고밀리는 지루한 전투는 2년4개월 계속되여 현재 정전 협정 에의한 남북간의 대치 상태에있다 6) 남북간 전쟁 으로인한 인적 물적피해 국군과 UN군은 17만8,000여명이 전사하고 55만5,000여명이 부상 8만2,000여명이 실종 납치8,443명이 북한에게 포로되여 포로교환되고 아직도 500여명의 포로가 북한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역시 엄청난 군인과 주민들이 피해(구쏘련의자료)38만 여명이 전사하고 부상자는 더많은 것으로 추산되며 북한군의 포로는8만3,258명이 포로교환되여 북한으로 넘어가고 80만명이 남한으로 자유를찾아 넘어왔다 28만여명이 전쟁으로 목슴을 잃었다 이산가족은 10,000명에이른다 맺음--- 우리는 또다시 민족적인 비극은 다시는 없어야하며 자라나는 세대를 위하여 더욱 국가관을 환립하고 6,25전쟁의 역사의식을 심어주어 민족 최대의 비극의 다시는 뒤풀이 없기를 일깨워 주기를 바라면서 6,25 참전 10대 소년병 으로서 길고긴 전쟁의 아품을 겪었기에 호국 보훈의달을 맞아 산화한 참전 전우들의 명복을 빌면서 잊어저가는 역사의식을 재창출 하고 이를 다짐하고자 합니다 (자료제공) 참전용사-육군협회 (AROKA회원)--소담 엔카회원-- |
'過去資料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인이 소장한 한국 사진.(총집합)|▶.... (0) | 2011.06.07 |
---|---|
[스크랩] 핵물리학 박사 이휘소 박사를 누가 죽였나? (0) | 2011.06.05 |
北 傀의 도발 일지 (0) | 2011.05.23 |
50년 맞은 5·16 <上>… JP, 그날을 말하다 (0) | 2011.05.23 |
명성황후를 시해한 친일파 이두황 墓 발견 하다! (0) | 2011.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