備忘資料函

大韓民國의 國務總理

bsk5865 2011. 10. 10. 08:54

http://cafe.daum.net/tyengco/apsq 

역대 대한민국의 국무총리~2011년 4월 현재
| 인물열전(근.현)
淸瀞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Standard of the Prime Minister of the Republic of Korea.svg
대한민국 국무총리기
관저 국무총리공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임명자 이명박
초대 이범석
성립 1948년 7월 31일
계승순위 1위
웹사이트 www.pmo.go.kr
국무총리의 휘장

국무총리(國務總理)는 현행 대한민국 헌법 하에서 대한민국의 대통령을 보좌하며, 행정에 관하여 대통령의 명령을 받아 행정 각부를 통괄하는 역할을 맡는다(대한민국 헌법 제86조 제2항). 대통령제하에는 부통령을 두는 것이 일반적이나 현행헌법은 의원내각제적 요소로 볼 수 있는 국무총리제를 채택하고 있다. 국무총리는 대통령의 권한대행자로서의 지위, 대통령의 보좌기관으로서의 지위, 행정부의 제2인자로서의 지위, 중앙행정관청으로서의 지위, 국무회의의 부의장으로서의 지위를 가진다. 행정부의 제2인자로서의 지위로서는 각부장관보다 상위의 지위로서, 행정각부의 장을 지휘 감독하나 중앙행정관청으로서의 지위로서는 행정각부의 장과 동등한 지위를 가진다. 대통령 중심제에 내각책임제적 요소가 가미된 현행 헌법 하에서 국무총리는 국무위원 제청권, 해임건의권 등을 지닌다. 내각책임제인 제2공화국에서 국무총리는 정권의 최고 책임자로서 대통령 중심제의 국무총리에 비할 수 없이 큰 권한과 책임을 지녔다. 국회의장, 대법원장과 함께 3부 요인이라 한다.

목차

[편집] 관련 헌법 조항

  • 국무총리는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한다. (대한민국 헌법 제86조 제1항)
  • 군인은 현역을 면한 후가 아니면 국무총리로 임명될 수 없다. (대한민국 헌법 제86조 제3항)
  • 국무위원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 (대한민국 헌법 제87조 제1항)
  • 국무총리는 국무위원의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다. (대한민국 헌법 제87조 제3항)

[편집] 국무총리의 권한과 역할

국무총리는 대통령의 유고시 및 탄핵시 대통령의 권한을 임시적으로 이어받아 행정 각부를 통할하고, 지휘할 수 있으며 국무위원을 통솔한다. 또한, 원활한 국정 운영을 위해 국무를 조정하고 통할한다. 국무총리가 유고시에는 정부법상 기획재정부 장관이 총리직을 대행한다.

[편집] 역대 국무총리

[편집] 제1공화국

역대 이름 임기 비고(주요 업적 등)
서리[1] 이윤영 1948년 7월 22일 - 1948년 7월 31일 독립유공자, 인준 부결[2]
제1대 이범석 1948년 7월 31일 - 1950년 4월 20일 독립유공자
서리 이윤영 1950년 4월 3일 - 1950년 4월 6일[3]
서리 신성모 1950년 4월 21일 - 1950년 11월 22일 독립유공자
서리 백낙준 1950년 11월 3일 - 1950년 11월 15일 11월 3일, 15일 2차 인준부결, 문교부장관
제2대 장면 1950년 11월 23일 -1952년 4월 23일
서리 허정 1951년 11월 6일 - 1952년 4월 9일 1952년 1월 12일 서리전임으로 발령시킴[4]
서리 이윤영 1952년 4월 24일 - 1952년 5월 5일
제3대 장택상 1952년 5월 6일 - 1952년 10월 5일 독립유공자
서리 이윤영 1952년 10월 5일 - 1952년 10월 17일 3차 인준부결[4]
서리 백두진 1952년 10월 9일 - 1953년 4월 23일
임시 이갑성 1952년 10월 9일 - 1953년 7월 27일 전시내각의 임시 국무총리(공동)
제4대 백두진 1953년 4월 24일 - 1954년 6월 17일
제5대 변영태 1954년 6월 27일 - 1954년 11월 28일
임시서리 백한성 1954년 11월 18일[4] - 1954년 11월 29일

[편집] 제2공화국

장면만 선거로 구성된 국회 제1당의 지도자로서 제2공화국의 정식 국무총리이다. 허정제2공화국 수립 전 임시 내각 수반이었고[5][6], 장도영, 송요찬 등은 박정희 등이 제2공화국5·16 군사정변으로 붕괴시킨 뒤 군사 정부 시절 내각 수반이었다.

역대 이 름 임기 비고(주요 업적 등)
내각수반 허정 1960년 4월 27일 - 1960년 6월 15일 겸임 대통령 권한대행,
4.19 이후 선거무효로 인한 내각수반
제6대 허정 1960년 6월 15일 - 1960년 8월 18일
서리 김도연 1960년 8월 16일 - 1960년 8월 17일 인준부결[7][8][9]
제7대 장면 1960년 8월 19일 - 1961년 5월 18일
내각수반 장도영 1961년 5월 20일 - 1961년 7월 2일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내각수반 송요찬 1961년 7월 3일 - 1962년 6월 15일
내각수반 박정희 1962년 6월 18일 - 1962년 7월 9일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대통령 권한대행,
후일 대통령
내각수반 김현철 1962년 7월 10일 - 1963년 12월 16일

[편집] 제3공화국

역대 이 름 임기 비고(주요 업적 등)
제8대 최두선 1963년 12월 17일 - 1964년 5월 9일
제9대 정일권 1964년 5월 10일 - 1970년 12월 20일
제10대 백두진 1970년 12월 21일 - 1971년 6월 3일
제11대 김종필 1971년 6월 4일 - 1975년 12월 18일

[편집] 제4공화국

1979년 10월 26일 대통령 박정희의 암살으로 총리 최규하가 대통령직을 권한대행(1979. 10. 26 - 12. 8)하게 된다.

역대 이 름 임기 비고(주요 업적 등)
서리 최규하 1975년 12월 19일 - 1976년 3월 12일
제12대 최규하 1976년 3월 13일 - 1979년 12월 5일 1979년 10월 26일 이후 대통령 권한대행
제13대 신현확 1979년 12월 13일 - 1980년 5월 21일
서리 박충훈 1980년 5월 22일 - 1980년 9월 1일 8월 22일 이후 일시적 대통령 권한대행 겸임
서리 남덕우 1980년 9월 2일 - 1980년 9월 21일
제14대 남덕우 1980년 9월 22일 - 1982년 1월 3일

[편집] 제5공화국

역대 이 름 임기 비고(주요 업적 등)
서리 유창순 1982년 1월 4일 - 1982년 1월 22일
제15대 유창순 1982년 1월 23일 - 1982년 6월 24일
서리 김상협 1982년 6월 25일 -1982년 9월 20일
제16대 김상협 1982년 9월 21일 - 1983년 10월 14일
서리 진의종 1983년 10월 15일 - 1983년 10월 16일
제17대 진의종 1983년 10월 17일 - 1985년 2월 18일
직무대행[10] 신병현 1984년 11월 7일 - 1985년 2월 18일 진의종 총리의 와병으로 인한 직무대행
서리 노신영 1985년 2월 19일 - 1985년 5월 15일
제18대 노신영 1985년 5월 16일 - 1987년 5월 25일
서리 이한기 1987년 5월 26일 - 1987년 7월 13일
서리 김정렬 1987년 7월 14일 - 1987년 8월 6일
제19대 김정렬 1987년 8월 7일 - 1988년 2월 24일

[편집] 제6공화국

[편집] 노태우 정부

역대 이 름 임기
서리 이현재 1988년 2월 25일 - 1988년 3월 1일
제20대 이현재 1988년 3월 2일 - 1988년 12월 4일
서리 강영훈 1988년 12월 5일 -1988년 12월 15일
제21대 강영훈 1988년 12월 16일 - 1990년 12월 26일
서리 노재봉 1990년 12월 27일 - 1991년 1월 22일
제22대 노재봉 1991년 1월 23일 - 1991년 5월 23일
서리 정원식 1991년 5월 24일 - 1991년 7월 7일
제23대 정원식 1991년 7월 8일 - 1992년 10월 7일
제24대 현승종 1992년 10월 8일 - 1993년 2월 24일

[편집] 문민정부

역대 이 름 임기
제25대 황인성 1993년 2월 25일 - 1993년 12월 16일
제26대 이회창 1993년 12월 17일 - 1994년 4월 21일
제27대 이영덕 1994년 4월 30일 - 1994년 12월 16일
제28대 이홍구 1994년 12월 17일 - 1995년 12월 17일
제29대 이수성 1995년 12월 18일 - 1997년 3월 4일
제30대 고건 1997년 3월 5일 - 1998년 3월 2일

[편집] 국민의 정부

역대 이 름 임기
서리 김종필 1998년 3월 3일 - 1998년 8월 17일
제31대 김종필 1998년 8월 18일 - 2000년 1월 12일
제32대 박태준 2000년 1월 13일 - 2000년 5월 18일
직무대행[11] 이헌재 2000년 5월 18일 - 2000년 5월 23일
서리 이한동 2000년 5월 23일 - 2000년 6월 28일
제33대 이한동 2000년 6월 29일 - 2002년 7월 10일
서리 장상 2002년 7월 11일 - 2002년 7월 31일
서리 장대환 2002년 8월 9일 - 2002년 8월 28일
서리 김석수 2002년 9월 10일 - 2002년 10월 4일
제34대 김석수 2002년 10월 5일 - 2003년 2월 26일

[편집] 참여정부

역대 이 름 임기 비고(주요 업적 등)
제35대 고건 2003년 2월 27일 - 2004년 5월 24일 임기 중 대통령 권한 대행
직무대행[12] 이헌재 2004년 5월 24일 - 2004년 6월 29일 경제부총리
제36대 이해찬 2004년 6월 30일 - 2006년 3월 15일
직무대행 한덕수 2006년 3월 16일 - 2006년 4월 19일 38대 총리
제37대 한명숙 2006년 4월 20일 - 2007년 3월 7일 최초의 여성 총리
직무대행[12] 권오규 2007년 3월 7일 - 2007년 4월 2일 경제부총리
제38대 한덕수 2007년 4월 3일 - 2008년 2월 28일

[편집] 이명박 정부

역대 이 름 임기 비고(주요 업적 등)
제39대 한승수 2008년 2월 29일 - 2009년 9월 28일
제40대 정운찬 2009년 9월 29일 - 2010년 8월 10일
직무대행 윤증현 2010년 8월 11일 - 2010년 9월 30일 기획재정부장관
제41대 김황식 2010년 10월 1일 -

[편집] 같이 보기

[편집] 바깥 고리

[편집] 주석

  1. 대한민국 헌법 제86조 제1항은 "국무총리는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한다."고 하고 있으나, 과거 대통령이 국회의 동의를 얻지 않고 국무총리를 임명하는 경우가 있었고, 이 경우 국무총리 "서리"라 칭한다.
  2.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인물과사상사, 2004) 143쪽
  3. 이재원, 《한국의 국무총리 연구》 (나남, 2006) 109페이지
  4. 이재원, 《한국의 국무총리 연구》 (나남, 2006) 125페이지
  5. 고성인터넷뉴스
  6.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 서울신문
  7. 장상 총리 임명동의안 부결 프레시안 2002년 7월 31일자
  8. 스므날의 첫 여성 총리의 꿈 꺾여 시사포커스 2003년 4월 25일자
  9. 장상 총리인준안 부결 중앙일보 2002.07.31
  10. 정부조직법 제19조는 대통령의 지명이 있으면 그 지명을 받은 국무위원이, 지명이 없는 경우에는 규정된 순서에 따라 국무위원이 그 직무를 대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11. 경제부총리, 당연직 총리대행(?) - 동아일보 2007년 3월 7일자
  12. 경제부총리, 당연직 총리대행(?)- 동아일보 2007년 3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