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ask.nate.com/qna/view.html?n=9203312
라오스의 역사..라오스는 어떻게 공산화 됬나요?
님의 답변 09.07.19 00:30
라오스의 다수 종족인 라오족은 운남 지역에서 발전한 난짜오(Nanchao)왕국이 몽고에 의해서 멸망하자 현재의 라오스 지역으로 이동해 왔다. 라오족이 문자를 가지게 된 시기가 크메르족과 관계를 맺은 이후였기 때문에 건국신화나 기타 고대사에 대한 내용은 구전되어 왔다.
14세기 초까지 라오족은 통일된 왕조를 이루지 못하고 여러 개의 므엉(Muong: 도시)을 형성하고 있었는데 이 중 루엉 파방을 중심으로 화 훔이 란쌍(Lan Xang: 백만 마리 코끼리)왕국을 건국하였다. 란쌍 왕국은 18세기 초 왕위 계승 문제로 왕실간의 다툼이 발생하였고 결국 위양짠, 루엉 파방, 참빠싹으로 분열되었다.
프랑스의 식민통치가 시작되면서 오늘날의 라오스 국경이 정해졌다. 프랑스는 중국으로 진출하기 위해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라오스를 병합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루엉 파방의 왕을 라오스의 국왕으로 승격시키고, 참빠싹과 씨엥쾅(Xieng Quang)의 왕을 주지사급으로 강등시켰다. 라오스가 내륙국이며 인구가 희박하여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고, 애초 프랑스가 의도한 중국 진출 교두보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자 식민정부는 라오스 개발을 등한시 했다.
일시적으로 라오스를 점령하였던 일본이 패망하자 지하에서 활동하던 라오스인들의 독립 움직임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루엉 파방 왕국의 펫싸랏(Phetsarat)은 1945년 9월 15일 라오 이싸라(Lao Issara: 자유 라오스)를 결성하고, 같은 해 10월 12일 라오스임시인민정부를 수립하고 장점헌법을 채택하였다. 일본의 패망으로 프랑스는 라오스의 재식민통치를 위한 일환으로 잔존 일본군을 무장해제 시키고, 중국 국민당(KMT) 세력을 철수시키면서 라오 이싸라 운동을 방해하였다. 결국 프랑스군이 위양짠까지 진격하자 라오 이싸라 정부는 방콕으로 망명하였고, 프랑스는 위양짠과 루엉 파방을 점령하여 라오스의 재식민지화에 성공하였다.
한편 태국으로 망명한 라오 이싸라 정부는 국제사회에서 라오스의 독립을 인정받지 못하자, 임시 정부를 이끌고 있던 쑤파누웡(Souphanouvong: 붉은 왕자)이 친프랑스 인물인 쑤완나품(Souvannaphoum)과 결별하고 베트남의 베트민(Viet Minh)과 연대를 모색하였다. 1954년 프랑스가 디엔 비엔 푸(Dien Bien Phu) 전쟁에서 베트남에게 패하자 라오스의 독립도 자연스럽게 거론되기 시작했다. 1953년 10월, 라오스는 입헌군주제의 왕립라오정부(Loyal Lao Government)를 탄생시키며 완전한 주권국가의 지위를 확보하였다.
독립이 달성된 후 22년간 라오스 국내 정치는 국제정치의 냉전적 구도의 전유물이 되었다. 베트남, 중국, 소련은 라오스에서 자국의 영향력을 고착화시키기 위해 국내 공산주의 세력인 라오인민혁명당(LPRP)과 파텟라오(Pathet Lao: 라오인의 땅)를 지원한 반면, 미국과 태국은 왕립라오정부를 비공산주의 국가로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을 공산화시키기 위해 지원한 군수품 보급로가 라오스 동부를 경유하게 되자 미군은 이 지역을 무차별적으로 폭격하였다.
1973년 2월 라오스 내전은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이미 전 국토의 2/3을 장악하고 있던 파텟 라오는 미군의 지원을 받은 우익 지도부의 부패를 목격한 대중들의 압도적 지지와 호치민(湖志明)의 북베트남군이 남베트남을 통일 시킬 것이라는 유리한 판세 속에 위양짠 정부를 총 공격하여 1975년 8월 마침내 중앙 정부를 장악하였다. 혁명군은 즉시 혁명행정위원회를 구성하고, 입헌군주제를 폐기하는 한편 까이썬(Kaysone Phomvihane)을 중심으로 공산정권을 수립하였다.
1991년 성문화된 헌법이 채택되었다. 이 헌법에 의하면 “모든 권력은 국민에 의한 그리고 국민에 의해서 나온다.”(제2조)고 명시되어 있으나 중국과 베트남의 경우처럼 LPRP이 정치권력을 완전히 독점하고 있는 폐쇄적 다원주의이다. 법적으로도 LPRP을 제외한 어떤 정당도 인정 되지 않을뿐더러 조직될 수 없다. 라오스는 1997년 미얀마와 함께 아세안에 가입하여 조심스럽게 국제사회로 나서고 있다.
답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미지 | |||||||||||||||||
|
분류 | |
|
'備忘資料函'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選擧費用의 補塡 (0) | 2012.04.03 |
---|---|
우리나라의 姓氏別 人口 [2005.12.31현재] (0) | 2012.02.22 |
캄보디아의 지난 30년 공산화의 현실 (0) | 2012.02.02 |
월남 패망의 교훈 (0) | 2012.02.01 |
盧泰愚 정부의 5大 업적 (0) | 2011.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