傳說野談函

'끽휴시복(喫虧是福)|◈...

bsk5865 2012. 10. 3. 21:11

보낸사람 : 엔카 컴나라 운영자 12.10.03 20:43

 

'끽휴시복(喫虧是福)|◈...자 유 게 시 판
洛旅 | http://cafe.daum.net/yooin32/6rkh/23893 

 

'끽휴시복(喫虧是福)

[喫-마실끽  虧-어지러울휴 是-바를시 福-복복]

 

정승 조현명(趙顯命·1690~1752)의 아내가 세상을 떴다.

영문(營門)과 외방에서 부의가 답지했다.

 

장례가 끝난 후 집사가 물었다. "부의가 많이 들어왔습니다.

돈으로 바꿔 땅을 사 두시지요." "큰아이는 뭐라던가?"

"맏상주께서도 그게 좋겠다고 하십니다."

 

조현명이 술을 취하도록 마시고 여러 아들을 불러 꿇어 앉혔다.

"못난 놈들! 부의로 들어온 재물로 토지를 사려 하다니,

부모의 상을 이익으로 아는 게로구나. 내가 명색이 정승인데

땅을 못 사 굶어 죽기야 하겠느냐? 내가 죽으면 제사 지낼 놈도 없겠다."

 

매를 몹시 때리고 통곡했다. 이튿날 부의로 들어온 재물을 궁한 일가와

가난한 벗들에게 고르게 나눠 주었다. '해동속소학(海東續小學)'에 나온다.

청나라 때 판교(板橋) 정섭(鄭燮)이 유현(�v縣) 현령으로 있을 때 일이다.

고향의 아우가 편지를 보내왔다. 집 담장 때문에 이웃과 소송이 붙었으니,

현감에게 청탁해 이기게 해달라는 내용이었다.

정섭은 답장 대신 시 한 수를 썼다.

 

'천리 길에 글을 보냄 담장 하나 때문이니,

담장 하나 양보하면 또 무슨 상관인가?

만리 쌓은 장성은 여태 남아 있지만,

당년에 진시황은 보지도 못했다네.

 

 이와 함께 '끽휴시복(喫虧是福)' 네 글자를 써 보냈다.

밑지는 게 복이라는 뜻이다. 그 아래 쓴 풀이 글은 이렇다.

'가득참은 덜어냄의 기미요, 빈 것은 채움의 출발점이다.

내게서 덜어내면 남에게 채워진다.

 

밖으로는 인정의 평온을 얻고, 안으로는 내 마음의 편안함을 얻는다.

평온하고 편안하니, 복이 바로 여기에 있다.

 아우가 부끄러워 소송을 포기했다.

성대중(成大中·1732~1809)은 말한다.

"성대함은 쇠퇴의 조짐이다. 복은 재앙의 바탕이다.

쇠함이 없으려거든 큰 성대함에 처하지 말라.

재앙이 없으려거든 큰 복을 구하지 말라.

 떵떵거려 끝까지 다 누릴 생각 말고, 조심조심 아껴 나누며

더불어 살아가야 그 복이 길고 달다.

재앙은 부엌문이 열리기만 기다리는 배고픈 개처럼 틈을 노린다. 趙
                     [퍼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