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낸사람 : 소담 엔카 운영자 12.11.16 16:27
사십구재(49재, 四十九齋), 사십구일재(49일재, 四十九日齋) 또는 칠칠재(7 · 7재, 七七齋)는 사람이 죽은 지 49일째에 지내는 의례이다. 불교에서 사후(死後) 의례로서는 가장 중요시 하는 의례이다. [1]
유래 칠칠재(7 · 7재, 七七齋)라고도 불리는 사십구재는 사람이 죽은 뒤 불교의 사십구재(四十九齋),불경에서 설한 바에 의하면 사람의 존재 상태를 4가지로 구분하는데, 그것은 ① 생유(生有) ② 사유(死有) ③ 본유(本有: 生에서 死까지 생애) ④ 중유(中有: 이생에 죽어서 다음 生까지를 말함)이다.[1] 이들 중 네 번째의 중유(中有)의 상태의 정상적인 기간이 49일이다.[1] 즉 사람이 죽은 뒤에는 일반적인 경우 49일이면 중유(中有)가 끝나고 다음 생(生)이 결정된다.[1] 그러므로 다음 생이 결정되기 전인 48일째에 정성을 다하여 영혼의 명복을 비는 것이 49일재이다.[1] 49일재라는 의례에는 광 · 약의 다름이 있어 다음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1]
1. 상주권공재(常住權供齋): 가장 간단한 것으로 우선 불(佛) · 법(法) · 승(僧)의 삼보(三寶)에 예경하고 향(香) · 등(燈) · 다(茶) · 화(花) · 과(果)의 5가지로 공양(供養)을 드리고 끝으로 영혼을 위로하여 법어(法語)와 염불로써 천도를 행하는 의식이다.
2. 시왕각배재(十王各拜齋): 앞의 삼보(三寶) 외에 다시 영혼의 선악(善惡)을 심판하는 명부세계(冥府世界)의 염라대왕 등 10대왕에게 예배 공양하여 명복을 빈다.
3.영산작법재(靈山作法齋): 가장 범위가 큰 의식으로 갖추어 하자면 하루 한나절이 소요된다. [백과사전] (ctl);} |
'歲時風俗函'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野史] 公主의 男子 (0) | 2012.12.06 |
---|---|
[까치와호랑이] 새 希望의 傳達者 까치와 호랑이 (0) | 2012.12.06 |
[秋夕松餠송편] 추석에 송편을 먹는 이유 (0) | 2012.09.29 |
[國恥日] 8월 29일은 日本에 나라 빼앗긴 부끄러운 날[國恥日] (0) | 2012.08.29 |
[七夕] 歲時 名節 七夕 (0) | 2012.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