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낸사람 : 심산사랑방 운영자 16.04.17 21:27
새누리당 참패 五敵’은 누구? (함창기님 메일)▤★▶시사 정치영상글
새누리당 참패 五敵’은 누구?
총선 이튿날 발행된 6大 중앙 일간지(조선·중앙·동아·문화·경향·한겨레)의 기사와 社說(사설)에는, 주로 새누리당과 박근혜 대통령의 오만함을 비판하는 내용이 담겼다.
문화일보: ‘새누리당 참패 五敵’
가장 혹독한 평가를 내린 신문은 문화일보였다. 이 신문은 <새누리 ‘참패 五敵’>이란 기사에서 五敵(오적)이 누구인지에 대해 썼다.
<“배신의 정치, 표로 심판해 달라”고 했다가 정작 자신이 표의 심판을 받은 박근혜 대통령, 새누리당 공천 과정에서 유아독존식으로 칼날을 휘두른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 ‘옥새 파동’으로 정치를 희화화한 김무성 대표, 친박(친박근혜) 마케팅과 진박(진실한 친박) 코스프레의 주역 최경환 의원, ‘막말 파문’으로 당 전체의 표를 잠식한 것으로 평가되는 윤상현 의원 등이 그들이다.>
신문은 與圈(여권)의 한 인사의 말을 빌어 <朴 대통령의 독주와 국회 심판론에 대한 역풍, 金 대표와 李 위원장의 볼썽사나운 공천 다툼, 친박 핵심 인사들의 오만함에 대한 냉정한 표심이 반영된 결과>라고 전했다.
문화일보는 사설에서 새누리당의 총선 참패를 ‘박근혜 정권에 대한 선거 탄핵’이라고 표현했다. 議會(의회) 권력이 완전히 야당으로 넘어갔고, 보수세력까지 등을 돌렸다는 이유에서였다. 문화일보는 朴 대통령에게서 그 원인을 찾았다.
<現 정권이 이 지경에 이른 근본적인 원인은 박 대통령의 독선과 오만, 불통에서 찾을 수 있다. 박 대통령 취임 이전부터 온갖 인사 실패 등이 겹쳐 여권 내부에서도 수 없이 리더십 변화 요청이 이어졌지만 馬耳東風(마이동풍)이었다…(중략) 朴 대통령의 국정 운영과 인사스타일은 불통 그 자체였다. 4년 차가 되도록 야당 대표와 회담을 가진 것이 손가락으로 꼽을 지경이고, 여당 대표나 장관조차 대통령과 쉽게 대면할 수 없었다.>
조선일보: 새누리당 오만… 朴 대통령도 바뀌어야
조선일보도 사설에서 <새누리당은 선거전이 시작되기 전만 해도 최대 180석까지 얻을 수 있다는 얘기를 했다. 이런 오만이 이런 결과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야권이 분열되지 않았더라면 어떤 참담한 상황이 왔을지 알 수 없다>고 비판했다.
신문은, <이 결과(注: 총선 결과)에 대한 책임은 박근혜 대통령과 眞朴(진박)이라는 사람들이 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새누리당 공천을 주도한 소위 眞朴세력이 유승민 前 원내대표를 비롯해 그와 친한 정치인들을 공천 탈락시킨 점을 비판한 것이다. <유권자를 한 줄로 세울 수 있다는 오만이 아니었다면 도저히 할 수 없는 일이었다>는 지적도 했다.
조선일보는, 朴 대통령의 변화를 촉구하며 <國政(국정)도 일대 쇄신해야 한다. 그 변화는 이번에 표출된 민심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국민의당의 善戰(선전)에 대해 신문은, <기성 정당에 대한 국민의 강력한 경고장이라고 봐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새누리당의 청와대 거수기 행태 ▲국회선진화법을 무기로 국정의 발목을 잡았던 더불어민주당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의 공천 파동 등이 국민의당을 제3당으로 부상할 수 있게 한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조선일보는 그러나, 국민의당이 제3당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는 두고 볼 일이라고 했다. 당의 노선과 정책이 분명치 않고 구성원의 성향도 극과 극으로 갈려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신문은 내부 노선·계파 갈등이 불거질 가능성도 작지 않다고 했고, 지나친 호남 편중도 한계라고 지적했다.
중앙일보: “정치는 3流여도 유권자는 1流라는 믿음이 차오른다”
중앙일보는 사설에서 <4·13 민심은 사나웠다>며 <오만한 사육사를 물어버리는 맹수와 같았다. 분노의 투표는 놀라울 정도였다>고 평가했다. 중앙일보 역시 소통 장애, 수직적 黨靑 관계를 예로 들며 朴 대통령에게 책임이 있다고 했다.
<지난 3년간 朴 대통령은 인사난맥과 불통으로 무수한 비판을 받아왔다. 대선 때 약속했던 지역탕평 인사는 아예 사라진 지 오래다. 청와대 참모나 정부 부처 장관들조차 대통령과 대면 보고가 어려울 정도로 소통 장애가 벌어지고 있다. 특히 朴 대통령은 자신의 정치를 뒷받침하고 보완하는 집권당 대표와 원내대표를 무슨 부하 직원처럼 여기는 듯한 태도를 취하는 게 문제로 지적돼 왔다.>
이번 선거에서는 與野의 텃밭에서 상대당 후보가 당선되는 이변이 많이 일어났다. 신문은 이에 대해 <영호남 양쪽 지역 모두에서 한국 정치의 고질병인 지역주의가 갈라지는 소리가 들리고 있다. 정치는 3流여도 유권자는 1流라는 믿음이 차오른다>고 평가했다. 이밖에도 ▲더불어민주당의 극단적인 운동권 정치문화 청산 ▲국민의당이 향후 국회에서 갈등 중재 역할에 나설 것 등을 주문했다.
동아일보: 문재인이 약속을 어떻게 지킬지 궁금
동아일보도, 새누리당의 공천 파동이 지지층의 이반을 불러온 것으로 보았다.
<친박(親박근혜) 충성분자를 꽂아 넣기 위해 ‘총선 결과에 개의치 않겠다’는 역대 최악의 막장 공천은 전통적인 지지층의 이반을 불러왔다. 이른바 서울 강남벨트와 텃밭인 부산과 대구의 지지층이 고개를 돌린 것을 박 대통령과 친박 핵심은 직시해야 한다. 전체 투표율은 58.0%로 지난 총선보다 3.8%포인트 높아졌지만 전통적 여당 지역인 대구·부산 등이 가장 저조한 것은 아예 투표도 하기 싫다는 의미다.>
신문은 <이번 총선은 야권이 단일화에 실패하면서 새누리당에 압도적으로 유리한 구도였다>며 <이번만은 박근혜 정권을 심판해야 한다는 ‘분노의 폭풍’이 불면서 야권 분열 구도가 맥을 못 추었다>고 평가했다.
동아일보는, 문재인 前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향후 進路(진로)도 주목했다. 문재인 前 대표는 총선 직전 ‘호남의 지지가 없다면 대선 출마를 하지 않겠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었다. 선거 결과, 국민의당이 호남 의석(광주·전남북)의 약 82%을 석권, 더불어민주당은 호남에서 참패했다. 이에 대해 신문은 <문재인 전 대표는 호남의 지지 여부에 대선 출마와 자신의 정치생명을 걸었으니 약속을 어떻게 지킬지 궁금하다>고 했다.
경향신문: 투표율 상승에 의미부여
경향신문은 사설에서 <민심이 박근혜 정권의 민생·민주주의 후퇴에 냉엄한 심판을 내린 것>이라고 총선 결과를 평가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선거 결과를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도 했다.
<朴 대통령은 국정운영 방식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 총선 결과에서 나타난 민의를 외면하고 불통·독선·폭주를 이어간다면 더 큰 심판에 직면할 것임을 알아야 한다. 새누리당도 집권당으로서 제 역할을 하고 있는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공천 과정에서 오직 朴 대통령의 뜻을 무작정 따랐던 결과가 대구·부산 등의 표심 이반으로 나타난 것 아닌가.>
신문은 또 <대통령 사진을 사진이라 부르지 못하고 ‘존영’이라 칭하는 정당은, 公黨(공당)이 아니라 호위무사 패거리가 뭉친 私黨(사당)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경향신문은 투표율 상승에 의미를 부여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집계 결과 유권자 4210만 398명 가운데 2443만 2533명이 투표에 참여, 58%의 투표율(잠정)을 보였다. 이는 19대 총선 투표율(54.2%)보다 높고, 2014년 지방선거 투표율(56.8%)도 넘어선 수치다. 신문은 <비록 60%의 벽은 돌파하지 못했지만 고무적인 결과로 받아들인다. 투표율 제고는 특정 정당에 미칠 유불리를 떠나 시민의 정치참여 열기를 방증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했다.
한겨레신문: 지역구도 완화에 주목
한겨레신문은 사설에서 <유권자들이 박 대통령에게 보내는 메시지는 명확하다. 지금까지의 방식으로 나라를 이끌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며 기존의 국정 운영방식에 변화를 촉구했다.
<민주주의와 인권의 후퇴를 비롯해 경제, 외교·안보, 남북관계 등 곳곳에서 시대의 수레바퀴를 거꾸로 돌려온 행태를 중단하고 국정운영 궤도를 올바른 방향으로 수정해야 한다.>
신문은 지역구도 완화에도 주목했다.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대구 당선에 대해 <정부여당에 대한 민심 이반이 핵심 지지층에서도 얼마나 심각한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뚜렷한 증거>라고 評했다. 호남에서 당선된 새누리당 이정현·정운천 후보에 대해서도 <지역구도의 완화 차원에서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고 했다.
蓮 楚 咸 昌 岐
010-8934-2599
031-947-2599
'6共和6期函'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代總選 群衆은 賢明하지 못하다 **** (0) | 2016.04.21 |
---|---|
20代 總選, 大韓民國 赤化程度를 評價했다 (0) | 2016.04.18 |
左偏向 言論의 傲慢 (이상진) (함창기님 메일) (0) | 2016.04.17 |
빨간 옷을 입고 시작한 政黨의 末路 (0) | 2016.04.16 |
20代 總選 / 形便없는 쓰레기들 **** (0) | 2016.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