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共和6期函

北미사일 놀랄 수준 83도 高角발사…

bsk5865 2016. 6. 26. 08:18

보낸사람 : 심산사랑방 운영자 16.06.25 20:54

83도 高角발사… 北미사일 놀랄 수준 (함창기님 메일)|▤=▶ 자유 (함창기님)

김성운 | 조회 14 |추천 0 |2016.06.25. 20:53 http://cafe.daum.net/kso195/PnFd/2133 

83도 高角발사… 北미사일 놀랄 수준

유용원 군사전문기자  

 

100자평158

입력 : 2016.06.24 03:00   

[무수단 발사 성공]
83도로 1413㎞ 올라간 무수단… 32도로 쏘면 괌 타격

통제 힘든 비정상적 고각으로 우주까지 갔다 예상 해역 낙하
ICBM 개발 급진전될 가능성… 美 "극악무도한 행위" 맹비난

전문가들 "고각 발사는 고난도… 北 미사일 기술에 상당한 진전"
괌 기지는 美공군의 전략 거점, 유사시 한반도 증원 차질 우려
"核장착땐 美도 쉽게 못움직여"

북한 노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 등은 23일 "전략 탄도로케트 '화성-10' 시험 발사를 성공했다"며 "시험 발사는 고각(高角) 발사 체제로 진행돼 최대 정점 고도 1413.6㎞까지 상승 비행, 400㎞ 전방의 예정된 목표 수역에 정확히 낙탄되었다"고 발표했다. '화성-10'은 전날  발사된 '무수단 미사일'의 북한식 명칭이다.


이에 대해 우리 군 당국과 전문가들은 "북이 상당한 기술적 진전을 이룬 셈"이라고 했다. 조시 어니스트 미 백악관 대변인은 "국제적 의무를 어긴 극악무도한(flagrant) 위반 행위"라고 비난했다.

최소 사거리 이내 고각(高角) 발사는 고난도 기술

수직으로 발사된 탄도미사일은 일정 고도에 도달하면 45도 안팎의 각도로 날아 올라간 이후 각도를 더 낮춰 타원형 궤도를 그리며 비
행한다. 물리학적으로 계산하면 진공 수평 상태에선 45도 각도로 물건을 쏘아 올릴 때 가장 멀리 날아간다. 그러나 지구 표면이 곡면(曲面)이고 공기저항도 있기 때문에 중장거리 미사일은 45도보다 낮은 각도로 쏘는 것이 가장 멀리 날아간다. 이런 이유 때문에 중거리 미사일은 비행 각도 30~35도 정도로 발사한다.


김정은, 이런 포옹 할 만큼 감격했나 - 북한은 23일 노동신문을 통해 “김정은 동지께서 지상 대(對) 지상 중장거리 전략 탄도로케트 ‘화성-10’ 시험 발사를 현지에서 지도했다”며 관련 사진 34장을 공개했다. 북한이 22일 발사한 무수단 미사일을 ‘화성-10’이라는 북한식 이름으로 밝힌 것은 처음이다. 사진은 김정은(오른쪽) 노동당 위원장이 리병철 당 중앙위 제1부부장을 끌어안은 모습. 오른쪽은 북한이 공개한 발사 장면.
김정은, 이런 포옹 할 만큼 감격했나 - 북한은 23일 노동신문을 통해 “김정은 동지께서 지상 대(對) 지상 중장거리 전략 탄도로케트 ‘화성-10’ 시험 발사를 현지에서 지도했다”며 관련 사진 34장을 공개했다. 북한이 22일 발사한 무수단미사일을 ‘화성-10’이라는 북한식 이름으로 밝힌 것은 처음이다. 사진은 김정은(오른쪽) 노동당 위원장이 리병철 당 중 앙위 제1부부장을 끌어안은 모습. 오른쪽은 북한이 공개한 발사 장면. /조선중앙TV며 발사되는 장면(오른쪽 사진). /노동신문


그러나 관계 당국의 시뮬레이션(모의실험)에 따르면 이번 북한의 무수단 미사일은 직각에 가까운 83도로 날아 올라간 것으로 분석됐다. 가파른 각도로 대기권(고도 100㎞)을 벗어나 1413㎞ 고도의 우주 공간까지 올라갔다가 급격히 낙하하며 원산에서 400㎞ 거리인 동해 상에 떨어진 것이다. 이번처럼 각도를 비정상적으로 높여 발사하면 목표 낙하지점을 벗어나는, 즉 오발 위험이 커진다.


고각으로 발사된 미사일이 대기권을 벗어난 뒤 통제에 문제가 생길 경우 엉뚱한 곳에 떨어질 수 있다. 북한은 원산에서 2~3시 방향(동쪽)으로

무수단을 쐈는데, 잘못되면 북한 본토나 일본 쪽으로 떨어질 수 있었다는 것이다.

군 소식통은 "북한이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어려운 비정상적인 고각 발사에 따른 리스크(위험)를 감수하고 성과를 거둔 것이 놀랍다"고 했다.

이동 발사대에서 각도 맞춘 후 발사 북한 노동신문은 23일 “중장거리 전략탄도 로케트 ‘화성-10’(무수단 미사일)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며 관련 사진 수십 장을 공개했다. 미사일을 발사대에 세우는 모습(왼쪽 사진)과 미사일이 불을 뿜으며 발사되는 장면(오른쪽 사진).
이동 발사대에서 각도 맞춘 후 발사 북한 노동신문은 23일 “중장거리 전략탄도 로케트 ‘화성-10’(무수단 미사일)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며 관련 사진 수십 장을 공개했다. 미사일을 발사대에 세우는 모습(왼쪽 사진)과 미사일이 불을 뿜으며 발사되는 장면(오른쪽 사진). /노동신문

만약 북한이 무수단을 일반적 중거리 탄도미사일처럼 32도 각도로 발사했다고 가정하면 최대 고도 640여㎞에 도달한 뒤 3200여㎞까지 날아갈 수 있는 것으로 관계 당국은 분석했다. 또 다른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최대 사거리가 3500~3800㎞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북한에서 3500㎞쯤 떨어진 아·태 지역의 미군 거점인 괌 기지를 타격할 능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ICBM 개발도 급진전 가능성

북한이 무수단 개발에 큰 진전을 달성함에 따라 유사시 미군의 한반도 증원 전략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무수단이 
겨냥하는 미군 괌 기지는 한반도 유사시 B-2 스텔스 폭격기, B-52 폭격기 등이 출동하는 전략 거점이기 때문이다.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 등 북한 수뇌부가 가장 두려워하는 무기가 B-2 폭격기다. B-2는 레이더에 거의 잡히지 않고 지하 60m를 관통
하는 강력한 '벙커버스터(GBU-57)'로 김정은 지하 벙커 등을 정확히 타격할 수 있다. 장거리 고고도 무인 전략 정찰기인 '글로벌호크'도 괌에서 한반도로 출동한다.

 22일 발사를 참관한 김정은이 "태평양 작전 지대 안의 미국 놈들을 현실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확실한 능력을 가지게 됐다"고 말한 것은 무수단의 타격 목표가 괌이라는 해석을 뒷받침한다. 일부 전문가는 북한이 실제로 괌 기지를 핵탄두 미사일로 타격할 능력을 갖추면 미국이 한반도에 적극적인 개입을 꺼릴 수 있다고 우려한다.
북한 무수단 시험발사 궤적과 최대 사거리 궤적 그래픽

                   

이번 무수단 발사 성공으로 북한은 미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최대 사거리 1만~1만2000㎞의 KN-08·14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개발에도 급진전을 이룰 가능성이 커졌다.

이 ICBM들은 무수단 미사일 엔진 2기를 장착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시험 발사는 이뤄지지 않았다. 강한 출력을 가진 신형 무수단 엔
진 개발 성공으로 머지않은 장래에 KN-08·14 시험 발사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ICBM 개발의 기술적 난관 중 하나인 대기권 재진입 기술 개발에도 진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ICBM의 최대 낙하 속도는 마하 20~25 (음속의 20~25배)로 탄두(彈頭) 부분에는 6000~7000도의 마찰열이 발생한다. 이번 무수단의 최대 낙하 속도는 마하 15 안팎으로 분석된다.

한·미 군 당국은 북한의 무수단 시험 발사가 상당 수준 성공함에 따라 올 초부터 계속 검토 중인 미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THAAD)
의 주한 미군 배치를 서두르는 등 다각적인 대책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蓮 楚 咸 昌 岐
010-8934-2599 031-947-2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