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2월 29일 수요일, 07시 46분 57초 +0900 |
귀촉도 (歸蜀途) -서정주
귀 촉 도 歸蜀途 눈물 아롱아롱 피리 불고 가신 임의 밟으신 길은 진달래 꽃비 오는 서역(西域) 삼만리 흰 옷깃 여며여며 가옵신 임의 다시 오진 못하는 파촉(巴蜀) 삼만리
신이나 삼아줄 걸, 슬픈 사연의 올올이 아로새긴 육날 메투리. 은장도 푸른 날로 이냥 베어서 부질없는 이 머리털 엮어 드릴 걸.
초롱에 불빛 지친 밤하늘 구비구비 은핫물 목이 젖은 새. 차마 아니 솟는 가락 눈이 감겨서 그대 하늘 끝 호올로 가신 임아.
- < 춘추 >(1946) -
*****
사별(死別)한 임을 향한 정한(情恨)과 슬픔을 처절하게 노래한 시로 보인다. 다시 돌아올 수 없는 머나먼 죽음의 길로 떠난 임에 대해 여인이 느끼는 회한과 슬픔이 애절히 노래되고 있다. 임이 떠나 버린 뒤에는 머리털(생명 상징)마저 부질없는 것이 되어 버렸다는 시적 자아의 진술을 통해 우리는 이 시가 지닌 정서의 깊이와 폭을 짐작할 수 있다. '임의 부재(不在)'를 드러내는 것은 우리 문학의 중요한 전통 중의 하나다. 이 작품이 '임의 부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恨)'의 미학을 표현하는 우리 문학의 전통과 접맥되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민족의 고유한 정서를 표출하려는 시인의 의도는 전통적 소재를 통해 구체화된다. 즉 '진달래', '육날 메투리', '은장도', '은하ㅅ물', '귀촉도' 등의 시어는 작품 전체의 분위기를 지배하면서 주제 의식을 직접적으로 드러내 준다. "> ">
|
'詩, 漢詩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천 寒天/ 김영천 [애국가 교향곡] (0) | 2011.01.01 |
---|---|
님의 침묵(沈默) -韓龍雲 (0) | 2011.01.01 |
男は 泣かぬ ものなれば こそ...(芭蕉俳句集より) (0) | 2010.12.28 |
'보리피리' '봄' -한하운|⊙... (0) | 2010.12.27 |
詠貧士 - 陶淵明 (배경음악 = 酔燈台 歌 ; 山本讓二)] (0) | 2010.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