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낸사람: 엔카 컴나라 운영자 12.03.15 09:35
有我無蛙人生之恨일반 게시판
柳 덕인 http://cafe.daum.net/yooin32/SegI/270
"나는 있으나 개구리가 없는게 인생의 한이다" 란 뜻입니다.
고려말의 유명한 학자인 이규보(李奎報)선생께서
몇 번의 과거에 낙방하고 초야에 묻혀살 때 집 대문에 붙어있던 글입니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4%2F23_25_29_1_06omh_IMAGE_0_92.jpg%3Fthumb&filename=92.jpg)
[이 글에 대한 유래]
임금이 하루는 단독으로 야행을 나갔다가 깊은 산중에서 날이 저물었다.
요행히 민가를 하나 발견하고 하루를 묵고자 청을 했지만
집주인(이규보 선생)이 조금 더 가면 주막이 있다는 이야기를 하자
임금은 할 수 없이 발길을 돌려야했다.
그런데 그 집(이규보)대문에 붙어있는 글이 임금을 궁금하게 한거죠.
’나는 있는데 개구리가 없는게 인생의 한이다. 도대체 개구리가 뭘까..?’
한 나라의 임금으로서 어느만큼의 지식은 갖추었기에
개구리가 뜻하는 걸 생각해 봤지만 도저히 감이 안잡혔죠.
주막에 들려 국밥을 한 그릇 시켜먹으면서
주모에게 외딴집(이규보집)에 대해 물어보았다.
그는 과거에 낙방하고 마을에도 잘 안나오며
집안에서 책만 읽으면서 살아간다는 소리를 들었지요.
그래서 궁금증이 발동한 임금은
다시 그 집으로 가서 사정사정한 끝에 하룻밤을 묵어갈 수 있었습니다.
잠자리에 누웠지만 집 주인의 글 읽는 소리에 잠은 안오고 해서 면담을 신청했죠
그렇게도 궁금하게 여겼던 [유아무와 인생지한]이란 글에 대해 들을 수 있었습니다.
옛날, 노래를 아주 잘하는 꾀꼬리와 목소리가 듣기 거북한 까마귀가 살고 있었다.
하루는 꾀꼬리가 아름다운 목소리로 노래를 하고 있을 때
까마귀가 꾀꼬리한테 내기를 하자고 했다.
바로 "3일 후에 노래 시합을 하자"는 거였다.
두루미를 심판으로 하고서... 꾀꼬리는 한마디로 어이가 없었다.
노래를 잘 하기는 커녕 목소리 자체가 듣기 거북한 까마귀가
자신에게 노래시합을 제의하다니,
하지만 월등한 실력을 자신했기에 시합에 응했다.
그리고, 3일동안 목소리를 더 아름답게 가꾸고자 노력했다.
그런데,
반대로 노래시합을 제의한 까마귀는 노래 연습은 안하고
자루 하나를 가지고 논두렁의 개구리를 잡으러 돌아 다녔다.
그렇게 잡은 개구리를 두루미한테 갔다 주고 뒤를 부탁한 거다.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4%2F23_25_29_1_06omh_IMAGE_0_93.jpg%3Fthumb&filename=93.jpg)
약속한 3일이 되어서 꾀꼬리와 까마귀가 노래를 한곡 씩 부르고
심판인 두루미의 판정만을 남겨두고 있었다.
꾀꼬리는 자신이 생각해도 너무 고운 목소리로 잘 불렀기에
승리를 장담했지만 결국 심판인 두루미는 까마귀의 손을 들어주었다.
이 말은, 이규보선생이 임금한테 불의와 불법으로 얼룩진 나라를 비유해서 한 말이다.
이규보선생 자신이 생각해도,
그의 실력이나 지식은 어디 내놔도 안지는데 과거를 보면 꼭 떨어진다는 거다.
돈이 없고, 정승의 자식이 아니라는 이유로...
자신은,
노래를 잘하는 꾀꼬리 같은 입장이지만 까마귀가 두루미한테
상납한 개구리 같은 뒷 거래가 없었기에 번번히 낙방하여 초야에 묻혀 살고 있다고...
그 말을 들은 임금은 이규보선생의 품격이나 지식이 고상하기에,
자신도 과거에 여러번 낙방하고 전국을 떠도는 떠돌이인데 며칠 후에
임시과거가 있다해서 한양으로 올라가는 중이라고 거짓말을 하고
궁궐에 들어와 임시과거를 열 것을 명하였다 한다.
과거를 보는 날,
이규보선생도 뜰에서 다른 사람들과 같이 마음을 가다듬으며
준비를 하고 있을 때
시험관이 내 걸은 시제가 [유아무와 인생지한]이란 여덟자였다고 한다.
다른 사람들은 그게 무엇을 뜻하는 지를 생각하고 있을 때
이규보선생은 임금이 계신 곳을 향해 큰 절을 한 번 올리고
답을 적어 냄으로서 장원급제하여 차후 유명한 학자가 되었다고 한다
(펌)
有我無蛙人生之恨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4%2F23_25_29_1_06omh_IMAGE_0_92.jpg%3Fthumb&filename=92.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5%2F23_25_29_1_06omh_IMAGE_0_94.jpg%3Fthumb&filename=94.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5%2F23_25_29_1_06omh_IMAGE_0_95.jpg%3Fthumb&filename=95.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1%2F23_25_29_1_06omh_IMAGE_1_108.jpg%3Fthumb&filename=108.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2%2F23_25_29_1_06omh_IMAGE_0_99.jpg%3Fthumb&filename=99.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4%2F23_25_29_1_06omh_IMAGE_0_93.jpg%3Fthumb&filename=93.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3%2F23_25_29_1_06omh_IMAGE_1_116.jpg%3Fthumb&filename=116.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planet%2Ffs11%2F10_8_28_4_q3Qs_11247356_0_9.jpg%3Fthumb&filename=9.jpg)
![](https://img1.daumcdn.net/thumb/R460x0/?fname=https%3A%2F%2Ft1.daumcdn.net%2Fblogfile%2Ffs4%2F23_25_29_1_06omh_IMAGE_0_94.jpg%3Fthumb&filename=94.jpg)
'傳說野談函'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野談]- 風流 監司 -절개있는 아름다운 기생이야기 (0) | 2012.06.29 |
---|---|
[野談]-寶娘과 靑湖의 天生緣分 (0) | 2012.06.27 |
갈처사와 숙종대왕 명릉 (0) | 2010.11.14 |
高麗葬'(고려장) (0) | 2010.03.13 |
大關嶺 이야기 (0) | 2010.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