敎養常識函

6·15 남북 공동선언 위키백과

bsk5865 2012. 10. 16. 11:02

http://ko.wikipedia.org/wiki   위키백과

6·15 남북 공동선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6·15 남북공동선언에서 넘어옴)

6·15 남북 공동선언2000년 6월 15일 평양에서 대한민국김대중 대통령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정상회담을 통해서 발표한 공동 선언이다.[편집] 남북 공동선언문

Wikisource-logo.svg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6·15 남북 공동 선언〉은 대한민국대통령 김대중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장 김정일 사이의 회담을 통해 작성되었다. 그 5개 기본 조항은 다음과 같다.

  1. 남과 북은 나라의 통일문제를 그 주인인 우리 민족끼리 서로 힘을 합쳐 자주적으로 해결해 나가기로 하였다.
  2. 남과 북은 나라의 통일을 위한 남측의 연합제안과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안이 서로 공통성이 있다고 인정하고 앞으로 이 방향에서 통일을 지향시켜 나가기로 하였다.
  3. 남과 북은 올해 8·15에 즈음하여 흩어진 가족, 친척방문단을 교환하며 비전향장기수 문제를 해결하는 등 인도적 문제를 조속히 풀어 나가기로 하였다.
  4. 남과 북은 경제협력을 통하여 민족경제를 균형적으로 발전시키고 사회·문화·체육·보건·환경 등 제반 분야의 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하여 서로의 신뢰를 다져 나가기로 하였다.
  5. 남과 북은 이상과 같은 합의사항을 조속히 실천에 옮기기 위하여 이른 시일 안에 당국 사이의 대화를 개최하기로 하였다.
김대중 대통령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서울을 방문하도록 정중히 초청하였으며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앞으로 적절한 시기에 서울을 방문하기로 하였다.

합의안 두 번째 안에서 보듯 남측의 연합 단계와 북측의 낮은 단계 연방제안이 공통점이 있다며 이 방향에서 통일을 지향하기로 합의했다.

 

남한 정부의 3단계 통일방안 중 1단계인 ‘남북연합’은 남과 북이 독립국가로서 협력기구를 제도화하는 것이 골자다.

 

남북연합 정상회의, 남북연합회의(국회), 남북연합 각료회의 등을 통해 교류를 넓혀 가는 단계를 말하며, 국방 및 외교권은 남북이 각각 소유하는 ‘1민족 2국가 2체제 2정부’를 뜻하는 것이다.

 

반면에 북조선은 ‘느슨한 연방제’를 주창하며 ‘완전한 고려연방제’달성 앞서서 잠정적으로 지역 정부에 국방과 외교권 등까지 부여하는 것으로 북한의 연방제는 ‘1민족 2체제 2정부’는 같으나 ‘1국가’를 표방하고 있다. 이 안은 남북한의 체제공존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남북연합과 일정부분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북측에서는 이 선언을 10·4선언과 함께 대남공세에 하나의 무기로 쓰고 있다.

[편집] 김정일의 목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김일성의 사망 당시 경제 실패와 냉전에서 불리한 상황에서도 김정일은 헤네시 코냑의 구매비용으로 1989년 ~ 1999년까지 1년에 65만 ~ 80만 달러 사용하고 여러 곳 관저 건립 등 사생활에 탕진해오다 정권유지에 대한 압박감과 미국을 의식하였다.

 

김정일의 전속 요리사였던 일본인 후지모토 겐지는 미국을 두려워한 김정일은 미국의 제42대 대통령 빌 클린턴의 편지를 받고 무척 기뻐했다고 말했다.

 

평양을 방문한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이 전해준 서한을 받고 빌 클린턴에게 편지를 받았다는 말을 수없이 반복했다고 하며, 올브라이트가 방북할 때 아리랑 공연 등에 잔치를 벌였다.

 

한편, 피터슨 국제 경제 연구소, 백악관 고문인 마커스 놀랜드 박사는 동독의 소득은 서독의 50% 수준이었지만 남한과 북한의 소득 차는 15배, 20배에 달한다고 전했다.[1]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주석

  1. 프랑스 방송 제작 <긴급입수 김정일, 금지된 과거> KBS 2011년 3월 4일 방송
이 문서는 2012년 10월 15일 (월) 02:54에 마지막으로 바뀌었습니다.
모든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조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 규약을 참고하십시오.
Wikipedia®는 미국 및 다른 국가에 등록되어 있는, Wikimedia Foundation, Inc. 소유의 등록 상표입니다

http://ko.wikipedia.org/wiki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