豫備敎材函

[K-40460] お富さん - 唄 : 春日八郞 ,石川さゆり

bsk5865 2013. 6. 18. 14:23

보낸사람 : 엔카 컴나라 운영자 12.12.29 08:22

 

韓譯演歌 -( お富さん )- 唄 : 春日八郞 |▣..엔카韓譯한글토.a
chkms |  http://cafe.daum.net/yooin32/M31P/611 

 

 http://www.youtube.com/watch?v=p2sDnxlepRU  

お富さん 石川さゆり

http://www.youtube.com/watch?v=DpFW3Mxrmko

 이 노래는 1954年 노래가 나올당시 美國에서 한창 유행하던 Boogie Woogie의

  선율로 작곡된 경쾌한 멜로디가 그때 까지의 演歌와는 다른 형태의 노래여서

  일본 전국에 크게 유행하여 심지어는 뜻도 모르는 초등학생들 까지도 <死んだ

  筈だよ お富さん> 정도는 흘얼거리고 다닐 정도 였다함.

 

    노래 가사는 일본 전통가극인 歌舞伎 <与話情浮名横櫛>의 台詞 일부를 요약한

  내용으로, 그 줄거리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小間物屋(방물상점) 伊豆屋의 장남 与三郎과 矢場(활연습장)의딸 는 서로

  사랑하는 사이로, 이를 알게된 お富母親의 情夫 權太가 お富를 미끼로 与三郎

  아버지로부터 돈을 뜯고, 이를 알게된 与三郎의 母親은 お富 며누리로 삼으려

  했으나 반대하게됨.

 

    그후 お富 母親의 情夫 權太는 木更津(東京 인근 千葉県 - 아래 지도 참고)의

  폭력배 두목 源左과의 도박에서 지고 빌린돈 갚기위해 お富는 울면서 木更津

  가서 源左의 妾이 됨.

 

    与三郎는 금전관계로 木更津로 가게된 기회에 木更津 海辺에서 お富와 密會

  中에 源左 부하들에게 발각되어 온 몸에 34개소의 刺傷을 입고 바다에 던저져

  죽게 된것을 본 お富가 자기도 자살하려고 스스로 바다 물로 뛰어들게됨.

 

    바다에 던져지고, 뛰어든 두사람은 서로가 모르는채로 구조되어 살아났으나,

  与三郎 お富가 죽은것으로만 알고, 몸에난 흉한 刺傷 자국을 밑천 삼아 남을

  협박하여 돈을뜯는 무서운 폭력배가 되었고 부르는 이름도 <与三>으로 바꿔서

  三年을 지내던 중에 어느날 東京 日本橋 근처에서 돈을 갈취할 상점이 없나하고

  찾던중 <玄治店>에 들어가게되고 玄治店 女主人이 <一分銀>(돈) 들고 나오

  는데 자세히 살펴보니 바로 그 여자가 お富さん...

  

    죽은것으로만 알고 있던 お富를 三年만에 우연히 만난 玄治店 의 이장면부터

  노래가 시작됨. 노래 감상 해 보시기 바랍니다. (註 -chkms-) 

        千葉県の位置  木更津市位置図(千葉県)  地図の説明

                      千葉県                                木更市                                  木更 

 

                                      

                       お富さん [K-40460]

                      作詞:山崎正   作曲:渡久地政信   昭和29年

                                                                1954

                             한글토,韓訳 ; chkms

                                     特選:歌カラ1000 春日八郎 別れの一本杉/お富さん 

                                       唄 - 春日八郞

                    

                                カラオケ  시작 정지 클릭

                       

 

                    *이키나  쿠로베이     미코시노       마쓰니

                 *粋な    黒塀     見越しの      松に

                    *멋진    검은담장  담넘어로 보이는 소나무에 

                     *아다나  스가타노   *아라이 가미

                 *仇な     姿の    *洗い  髪

                    *원망스런 저모습    *요염한 자태 

                      신다      하즈아요   *오토미상

                  死んだ  筈だよ  *お富さん

                     죽은것이 틀림없는  *<오토미>님 

                      이키테       이타토와     오샤카 사마데토

                  生きて   いたとは  お釈迦さまでも

                     살 아 있 으 리 라 고 는   석가님이라해도

                      시라누           호토케노    오토미상    

                  知らぬ          仏の    お富さん   

                     부처님이라해도 알수없는  <오토미>님

                         에~사오~      *겐야다나 

                  エーサオ~   *玄治店 

                      에~사오~     *<겐야다타>

 

      * 粋な黒塀見越しの松 = 이 말은 妾들이 살고있는 집을 말하는 전형적인 表現

         으로 <妾이 살고있는 집>이라는 뜻으로, 黒塀 집을 둘러싼 나무판자 담장

         또는 판자 벽을 검은 색으로 칠한것을 말함.(아래 사진 참고 바랍니다)

        角館武家屋敷, 門
 

                                                 黒塀 家屋의 여러가지 形態

          * 仇な = 이 말은 仇な姿뒤에 따라나오는 <洗い髪>로 볼때 발음이 같은<婀娜>

        (아다나=요염한)를 쓰는것이 더 자연스런 말인데, 같은 발음의 <仇な>로 쓴것은

        与三郎가 三年만에 죽은줄만 알고있던 お富さん玄治店에서 처음 만났을때,

        <혹시 마님, 아주머니, 오토미상, 오토미...? 나를 못알아 보느냐> 묻고난

        끝에しがねえ 恋の情けが 仇...」(부질없구나 사랑의정이 원수라)하며 원망

        하는 有名한 台詞의 를 引用한 것이라 생각됨.

 

       水もしたたる(水も滴る) 또는 水のしたたるようないい男(물에서 방금 나온

       듯한 싱싱한 남자)라는 慣用句가 있음. 

 

     * 洗い髪 = 女子의 요염한자태 말하는 慣用句임. 男子에 대한 같은 慣用句로는

     *  玄治店 = 서로 죽은줄만 알고있던与三郎お富가 우연히 만나게되는 お富

        가게 이름.

                   ----------------------------------------------

 

                         스기타     무카시오    우라무쟈 나이가

                  過ぎた    昔を    恨むじゃないが

                     지나간      옛날을      원망하진 않지만 

                      카제모    시미루요     키즈노 아토

                  風も    沁みるよ    傷の跡

                     바람도    파고드네     상처의 흔적

                       히사시부르다네      오토미상

                  久しぶりだな   お富さん 

                     오 랫 만 이 야      <오토미>님  

                      이마쟈     요비나모     키라레노     *요사요

                  今じゃ  呼び名も  切られの  *与三よ   

                     지금은  부르는 이름도  칼에베인    *<요사>야

                        코레테     이치부쟈     오토미상 

                  これで  一分じゃ  お富さん

                      어런것    한푼으론   *<오토미>님

                       에~사오~       스마사레메에

                  エーサオ~  すまされめえ

                      에~사오~  그냥 넘어갈수 없는걸

 

       * 与三 = 폭력배가된 다음 与三郎 가 이름을 与三  바꾸어 부르는 이름.

                    ---------------------------------------------

 

                     카케챠        이케나이     타닌노    하나니

                  かけちゃ  いけない  他人の   花に   

                     정붙이면        안돼         남의    여자에게 

                      나사케 카케타가    미노    사다메

                  情   かけたが  身の  さだめ  

                     정을    준것이     이놈의   팔자라

                       구치와      요소오제       오토미상 

                  愚痴は  よそうぜ    お富さん   

                     푸념은      그만두지     <오토미>님

                       세메테      콩야와       사시쓰 사사레쓰 

                  せめて   今夜は   さしつさされつ 

                     적어도     오늘밤은       권커니 잣거니  

                      논데         아카소요      오토미상

                  飲んで   明かそよ   お富さん   

                     밤이 새도록 마십시다    <오토미>님  

                      에~사오~        챠완 자케

                  エーサオ~   茶わん酒

                     에~사오~        사발 술을  

                -----------------------------------------------

 

                     아에바     나쓰카시    카타루모     유메사

                  逢えば  なつかし   語るも    夢さ   

                     만나니       정겹고   이야하는것도  꿈같아  

                      다레가     히쿠야라      *아케가라스

                  誰が     弾くやら      *明烏

                     그누가     켜는걸까     *<아케가라스> 

                       쓰이테     쿠루 기카      오토미상

                  ついて  くる 気か   お富さん   

                      따라올     생각 있나    <오토미>님  

                        이노치 미지카쿠 와타루    우키오와 

                  命    みじかく 渡る    浮世は   

                      짧 은 삶 을 살 아 가 는    이세상은  

                       아메모   쓰라이제       오토미상 

                  雨も   つらいぜ   お富さん   

                     비도    괴로운거야    <오토미>님 

                       에~사오~       치고쿠아메 

                  エーサオ~    地獄雨   

                     에~사오~       지옥같은비 

  

      * 明烏 =  日本 古代 音樂의 一種인 明烏夢泡雪(けがらすゆめのあわゆ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