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漢詩函

論語2 爲 政

bsk5865 2012. 4. 17. 09:45

보낸사람 : 赤虎齋 운영자 12.04.16 21:23

 

황령산 | 조회 113 |추천 6 | 2012.04.16. 10:46

 

제 2 편 위 정( 爲 政 )

♣ 정치에 대한 내용을 많이 수록하였다.

子曰 道之以政하고 齊之以刑이면 民免而無恥니라, 
       도지이정        제지이형       민면이무치
법률 제도로써 백성을 지도하고 형벌로써 질서를 유지시키면, 백성들은 법망을 빠져나가되 형벌을 피함을 수치로 여기지 아니한다.

 

道之以德하고 齊之以禮이면 有恥且格이니라.
도지이덕       제지이례        유치차격
덕으로써 이끌고 예로서 질서를 유지시키면 백성들은 부정을 수치로 알고 착하게 된다.

 

子曰 吾 十有五而志于學하고 三十而立하고 四十而不惑하고 
       오 십유오이지우학       삼십이립       사십이불혹
나는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에 뜻이 확고하게 섰고, 마흔에는 인생관이 확립되어 마음에 혼란(유혹)이 없고,

 

五十而知天命하고 六十而耳順하고 七十而從心所欲하야 不踰矩니라
오십이지천명       육십이이순        칠십이종심소욕      불유구
쉰에는 천명을 깨달아 알게 되었고, 예순에는 어떠한 말을 들어도 그 이치를 깨달아 저절로 이해를 할 수 있었고, 일흔에는 내마음 대로 행동을 하여도 법도에 어긋나는 일이없었다.
☞ 많이 쓰이는 구절로 외어두면 많은 도움이 될것임

 

子曰 溫故而知新이면 可以爲師矣니라.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
옛것을 알고 새로운 지식을 터득하면 능히 스승이 될 수 있다.

 

子曰 君子는 不器니라. 
       군자     불기
군자는 한가지 구실밖에 못하는 기물이나 기계가 아니다.
☞ 지덕체를 구비한 전인적인 인간을 말함

 

子貢이 問君子한대 子曰 先行其言이오 以後從之니라.
자공    문군자               선행기언       이후종지
자공이 군자에 대하여 물으니 공자께서 먼저하고자 하는 일을 행한 후에 말을하는 사람이 군자다.

 

子曰 君子는 周而不比 하고 小人은 比以不周니라. 
       군자    주이불비        소인     비이부주
군자는 두루 통하면서도 편파적이 아니며 소인은 편파적이면서도 통하지도 않는다.

 

子曰 由아 誨女知之乎인저. 知之爲知之오 不知爲不知 是知也니라. 
       유    회여지지호 .       지지위지지    부지위부지 시지야
유야 너에게 안다는 것을 가르쳐 주마, 아는 것을 안다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참으로 아는 것이다.
☞ "由" 는 성은 중이고 이름이 유이며 자는 자로 또는 계로라함.
☞ 여(女)는 汝의 준말로 너(당신)를 가르킴

 

哀公이 問曰 何爲則民服이니이꼬.
애공    문왈 하위즉민복
노나라 애공왕이 어떻게 하면 백성들이 복종을 하겠습니까? 하니

 

公子 對曰 擧直錯諸枉則民服하고 擧枉錯諸直則民不服이니이다.
공자 대왈 거직조저왕즉민복       거왕조저직즉민불복
공자 대답이 곧고 올바른 사람을 등용해서 곧지 않는 사람 위에 놓으면 백성들은 마음까지 복종 하지만 반대로 부정직한 사람을 등용 하여 정직한 사람 위에 놓으면 백성들은 복종하지 않습니다.

 

子曰 見義不爲 無勇也니라. 
       견의불위무용야.
옳은 일을 보고도 나서서 행동하지 않는 것은 용기가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