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dge Over Troubled Water-Simon & Garfunkel 作詞 作曲 Paul Simon
When you're weary Feeling small When tears are in your eyes I will dry them all I'm on your side when times get rough And friends just can't be found
※Like a bridge over troubled water I will lay me down Like a bridge over troubled water I will lay me down※
When you're down and out When you're on the street When evening falls so hard I will comfort you I'll take your part Oh,when darkness comes And pain is all around
※くり返し
Sail on, silvergirl, Sail on by Your time has come to shine All your dreams are on their way See how they shine Oh,If you need a friend I'm sailing right behind
Like a bridge over troubled water I will ease your mind Like a bridge over troubled water I will ease your mind
明日に架ける橋-少年合唱団
作詞 作曲 P. Simon 日本語詞 岩谷時子 一 悲しいときは あなたの涙ふかせて私に Oh! 友達にはぐれたとき いつも明日に架ける橋のように 愛の手をあなたに差し出そう
二 心も暗い夜 あなたの傍で慰めてあげよう Oh! 闇の道さまようとき いつも明日に架ける橋のように 愛にあふれる身を 投げ出そう
三 海原をゆこう あなたはいま夢を迎えて輝くよ 恋人を見つけたとき いつも明日に架ける橋のように 愛の船を出してついてゆこう Oh
歌の背景 이 노래는1970年에 発表되여 지금까지 全世界에서 2500万枚 以上이 팔렸다는 記録이 있습니다.
또, Gourami의 年間 最優秀 album賞, 最優秀 record賞, 最優秀 歌唱賞도 獲得했습니다. 「너를 위해서라면, 나는 몸을 내던져, 거친 바다에 架設되는 다리가 될 것이다」라고 노래하는 이 사랑의 노래는, 1970年代에 靑春期를 보낸 사람에게는 잊을 수 없는 노래지요.
初等學校 時節부터 친구였다고 하는 猶太系 美國人, 폴•사이먼과 아트가펑클은, 1964年에 unit을 結成, 그 最初의 大히트가 1968年 發表된 의「The Sound of Silence」이었습니다.
以後의 活躍은 널리 알려지고 있는 대로, 「Scarborough Fair」「Boxer」「明日に架ける橋」「いとしのCecilia」「コンドルは飛んで行く」 等, 次例次例로 밀리언 셀러를 올렸습니다.
1968年의 映畵「卒業」의 테마 音樂도, 2名의 作品입니다. 그러나, 音樂性의 差異로부터, 「明日に架ける橋」의 album을 마지막으로 unit은 解散하고, 2名은 各各 솔로 活動를 하였습니다.
그 뒤 두번 再結成했습니다만, 結局 持續되지 못하고, 두 사람은 차츰 疏遠해 젔습니다. 音樂外의 場面에서는 親交가 繼續 되고 있었다고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만, 1990年에 두 사람이 Rock 殿堂(Rock and Roll Hall of Fame) 들어갔을 무렵에는, 꽤 차가워진 關係가 되어 있었다고도 합니다.
젊었을 때의 友情이 一生 繼續 되었다고 하는 이야기는,가끔 듣습니다만, 現實에 빠질 수 있는 케이스 같습니다. 個性과 自己 主張이 强한 아티스트 同志끼리라면, 더욱 더 困難하겠지요.
지난 2003年 5月「아시아 침례파 女性大會」가 沖縄에서 行해젔는데 그 테마가「Being a Bridge Over Troubled Waters」(平和의 다리 役割이 될 것이다)로 였습니다 이번은 이「明日に架ける橋」을 紹介하기로 합니다.
폴이 이 曲을 썼을 때, 最初에는 James Moriarty는 스스로는 노래하고 싶지 않다고 해 폴 自身이 노래하면 어떨까 勸하고 있었습니다. 結局 아티가 노래하게 되었지만, 폴은 後에 매우 後悔하게 됩니다. 콘서트에서 아티가 노래할 때는 聽衆은 언제나 第一의 大歡聲. 폴은 아티가 노래하고 있는 동안「고마워요, 여러분 이것은 내가 쓴 曲이야」라고 自身에게 타이르지 않으면 안 되게 되어 버렸습니다. 이것이 두 名을 갈라서게 하는 契機의 하나라고도 합니다. 해여진 後, 센츄럴 파크(Central park)에서 一時的으로 再結成하여 콘서트를 行했지만 그 때에도 이 曲이 불려졌습니다. 그러나, 폴에게는 아직 條件이 있던 것 같고, 아티가 노래하고 있을 때 폴은 전혀 나오지 않았습니다.
이와 같이 사이먼과 가펑클에 있어서 曲의 內容과는 正反對로 두 사람을 헤어지게 하는 原因의 하나가 되어 버린 曲이지만, 짓궂게도 그들의 히트곡 中에서도 最大의 히트가 됩니다. 「Bridge Over Troubled Water」은 앨범 發賣와 同時에 싱글 컷 되어 1970年 2月 28日부터 6週 連續 No.1이 되었습니다. 한層 더 앨범은 全美 앨범 차트 1位를 10週에 걸쳐 獨走해, 英國에서도 7個月에 걸쳐 1位에 있었으며 1100万枚를 記錄하는 大히트 앨범이 되었습니다. 그 해에 合計 6個의 그래미(Gourami)賞도 獲得하였습니다. 비틀즈조차 같은 時期에 發賣한「Let It Be」이「明日に架ける橋」에 눌려 6位에 머물렀습니다.
덧부쳐 말하면「明日に架ける橋」와「Let It Be」은 當時부터 자주 比較가 되었습니다. 發賣 時期도 거의 같고 gospel Like한 曲調, 피아노의 伴奏로부터 始作되어 ending(체널)에 있어서는 重厚하고 두꺼운 sound로 끝난다고 하는 것처럼 닮은 点이 있습니다. 日本에서도 當時 26万枚를 買上하는 大히트가 되었습니다. 「明日に架ける橋」은「明日なき暴走」「明日に向かって撃て」「明日なき世界」 等「明日」이 流行으로 흘러 나와 붙인 타이틀일 것이다로 정말로 뛰어납니다.
作成者 黃圭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