あばれ天竜-鏡五郎 作詞 仁井谷俊也 作曲 山崎剛昭
一 あばれ天竜 飛沫に濡れて 旅に行(ゆ)くのも 男のさだめ 泣くな深山(みやま)の 紅(べに)つつじ 伊那の七谷(ななたに) 俺(おい)らの故郷(こきょう) なんで捨てよか 恋の花
二 秋葉火祭り 近づく頃は 風の寒さが こころに沁みる おやじ達者か おふくろは 知らぬ他国の 片割れ月に 今日も詫びてる 親不孝
三 川は流れて 遠州灘に 行方知れない 俺(おい)らの旅路 明日(あす)は木曽路か 信濃路か 茜色した 西空みれば 落葉しぐれが 肩に降る
日本の年中行事 일본은 현대와 과거가 공존하는 사회이다.초현대적 건물이 즐비한 東京 거리에는 明治時代의 건물들도 많이 남아 있다. 전통을 중요시하는 일본인의 사고방식 덕분에 건물도 전통 행사도 잘 보존되어 내려오고 있다. 일본의 주요한 연중행사를 월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월의 행사…お正月 お正月는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는 출발점으로 일본인들에게 가장 큰 행사이다. 요즘에는 三が日나 松の内와 혼동하여 많이 쓰는데,원래 お正月는 1월 하달간을 가리킨다. 1월 1일은 특별히 元日이라고 한다. 공식적인 휴일은 l월 1일 단 하루이지만 관공서나 기업 등 대개는 3일까지 연휴인 곳이 많다 물론 1주일 정도 쉬는 회사도 많다.
설에는 문 앞에 門松를 세우거나 注連縄를 건다.門松는 소나무와 대나무로 만든 장식으로 일본에서는 소나무와 대나무가 잡귀를 쫓는다는 속설이 있다. 注連縄는 짚으로 만든 금줄로 행운이 들어오고 액운을 막아준다고 여기는 줄로 액운을 막고 잡귀를 쫓는다고 믿는다. 설 기간이 끝나면 門松와 함께 신사나 절에 가져가서 불에 태운다 또 집 안에는 鏡餅를 장식하는데,鏡餅는 神仏에게 올라는 것으로 둥글 넙적한 떡 두 개를 포개어 놓는다. 1월 11일경 잘라 팥죽 등에 넣어 먹는다.
1월 1일에는 절이나 신사에 찾아가 初詣를 하며 어른들은 아이들에게 세뱃돈인 お年玉를 준다.
일본인들은 새해 첫날 좋은 꿈을 꾸면 일 년이 좋다고 믿는데,꿈에 보이면 제일 좋은 것은 첫 번째가 富士山,두 번째가 鷹,세 번째가 茄子라 한다.
또한 일본인들은 연하장을 많이 주고받는데 주로 郵便局에서 판매하는 것을 많이 이용한다. 우체국에서도 인기 있는 아이들을 광고모델로 기용하여 적극적으로 홍보를 하며,우체국에서 정한 날짜까지 연하장을 부치면 1월 1일에 각 개인에게 배달해 준다.우체국 연하장에는 경품번호가 있어,1월 15일경 추첨을 통하여 많은 경품을 준다.
12월 31일은 절에서 제야의 종을 치고 年越しそば를 먹으며 새해를 맞이한다.
새해에는 お雑煮와 おせち料理를 먹는다 お雑煮는 참쌀로 만든 떡과 야채를 넣어 만든 일본식 떡국으로,関東地方은 네모난 찰떡을 넣어 만들고 関西地方은 동그란 찰떡을 넣어 만든다.
おせち料理는 2,3일의 설 연휴 동안 다 함께 먹을 수 있도록 찬합에 담아 준비한 음식으로,연휴 동안 여지들의 일손을 멀어 준다.요리 재료는 지방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도미,청어 알,다시마는 꼭 들어가는데,도미(鯛)는 일본어로 경사스럽다(おめでたい)는 말의 끝 발음과 같아서이고,다시마(こんぷ)는 기쁘다(よろこぶ)는 말과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이며,청어 알은 자손의 번영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2월의 행사… 節分 節分은 원래 계절이 바뀌는 때를 의미했으나,최근에는 입춘 전날인 2월 3일경을 말한다.가족 중 도깨비 가면을 쓰고 도깨비 역할을 하는 사람에게 묶은 콩을 던지면서‘도깨비는 나가고 복은 들어와라(鬼は外! 福は内!)’라고 외친다. 그 해의 건강과 복을 비는 행사로 자기의 나이만큼 뿌린 콩을 먹는 습관이 있다. 절이나 신사에서는 유명 연예인을 초청해서 콩을 뿌리는 행사를 하기도 한다.
3월의 행사…雛祭り,桃の節句 雛祭り는 3월 3일 여자아이의 건강을 기원하는 행사로 각 가정에서는 雛人形을 장식한다. 雛人形에 나쁜 액운을 전부 옮겨서 강에 떠내려 보내면 액운이 없어진다는 의미에서 시작되었다. 平安時代부터 시작된 행사로,당시의 雛人形은 종이로 만들었다. 室町時代에 들어와서 3월 3일로 정착되었으며,호화스러운 궁중의 행사로 발전하였고,이것이 전해 내려와 지금의 ひな祭り가 되었다. 雛人形은 저렴한 것도 있지만 100만 엔을 넘는 고가의 것도 있다. 桃の節句라고도 한다.
4월의 행사…花見 花見는 꽃구경을 말하는데 특히 벚꽃놀이를 가리킨다.벚꽃이 개화하면 활짝 핀 벚꽃나무 아래에서 밤낮을 가리지 않고 먹고 마시며 벚꽃을 즐긴다. 벚꽃을 감상하기 좋은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밤을 새서 지키기도 하는데,대학이나 회사에서는 보통 신입생이나 신입사원이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모든 매체에서 전국의 벚꽃 개화기를 예보한다. 東京의 上野公園에는 4월 초 벚꽃이 만개하면 전국 각지에서 벚꽃을 보러 오는 사람들로 초만원을 이룬다.青森의 弘前公園、長野의 高遠城址公園,奈良의 吉野山는 일본의 3대 벚꽃 명소로 꼽힌다.
5월의 행사…端午の節句 端午の節句는 端午 菖蒲の節句라고도 한다. 현재는 5월 5일 어린이날로 정해져 있는,경축일로공휴일이지만,원래는 남자아이의 성장을 축하하는 날이었다. 현재에도 그 전통과 관습이 남아 있어,남자아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鯉のぼり를 세우고 武者人形을 장식한다.
7월의 행사…七夕 七夕는 7월 7일 밤이라는 뜻으로,마을에서 선택된 여인이 7월 7일 밤까지 神의 옷이 될 옷감을 다 짜면,신이 그것을 입고 가면서 마을의 액운이 없어진다는 일본 고대의 신앙과 중국의 ひこぼし(견우성)과 織り姫의 전설이 융합되어 변하면서 내려온 행사로 短冊라는 가늘고 긴 색지에 소원을 써서 대나무 장대에 매달아 장식한다.
七夕祭り는 전국 각지에서 개최되는데,특히 仙台의 七夕祭り가 성대하기로 유명하다.
8월의 행사…お盆 お盆때는 고인의 혼령이 돌아온다고 여기기 때문에 가족이나 친척이 모여서 성묘를 하고 참배한다. お盆은 대부분 8월 13일부터 15일에 행해지지만,東京 일부 지역이나 九州 일부 지역에서는 7월 13일부터 16일 사이에 행사를 하는 경우도 있다 대개의 기업들은 8월 15일을 전후하여 3일~5일간을 お盆休み라 하여 여름휴가로 쉬는 경우가 많아 역,공항,도로 등은 귀성객으로 엄청난 혼잡을 이룬다. 관공서는 정식으로는 お盆休み가 없지만 이 기간 중 유급휴가를 얻는 사람이 적지 않다.
11월의 행사…七五三 七五三은 아이의 성장을 축하하는 날로 남자아이는 3세와 5세 여자아이는 3세와 7세가 되는 해의 11월 15일에 신사에 가서 아이의 무사 성장을 감사하고 행복을 기원한다. 유아사망률이 높았던 시기에 시작된 관습으로,아이의 장수를 바라는 의미에서 가늘고 긴 千歳飴를 먹인다.
12월의 행사…大晦日 大晦日는 1년의 마지막 날인 12월 31일을 말한다. 大晦日의 밤에는 年越しそば를 먹으며 해를 넘긴다.年越しそば에는 장수와 행복을 비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각 방송국에서는 특별프로그램이 방송되며,국영방송인 NHK에서 방송되는 紅白歌合戦은 大晦日를 대표하는 인기 프로그램이다.새해가 시작되는 밤 12시가 되면 일본 각지의 절에서는 사람의 번뇌를 몰아내는 108번의 제야의 종을 치는 행사를 하는 등,일본 전역에서 한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다양한 행사가 거행된다.
作成者 黃圭源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