歷史人物函

윤선도(尹善道)유적지--보길도(甫吉島)

bsk5865 2016. 6. 6. 08:41

보길도의 윤선도(尹善道) 유적지|▶....韓國 紀行

명사십리 | 조회 114 |추천 0 |2016.06.05. 21:24 http://cafe.daum.net/enkamom/LQLU/314 


 보길도의 윤선도(尹善道)유적지

1587(선조 20)∼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문인.

개설

본관은 해남(). 자는 약이(), 호는 고산()·해옹().

아버지는 예빈시부정()을 지낸 윤유심(: 윤선도

묘비명에는 )이다. 강원도관찰사를 지낸 숙부 윤유기(

: 윤선도묘비명에는 )에게 입양됐다.

생애 및 활동사항

당시 금서()였던 『소학(小學)』을 보고 감명을 받아 평생의

 좌우명으로 삼았다. 18세에 진사초시()에 합격하고, 20세에

 승보시(: 성균관 유생에게 시행하던 시험)에 1등을 했으며

 향시()와 진사시()에 연이어 합격했다.1616년(광해군 8)

성균관 유생으로서 이이첨(李爾瞻)·박승종(朴承宗)·유희분(柳希奮)

 등을 격렬하게 규탄하는 「병진소()」를 올렸다. 이로 인해

 이이첨 일파의 모함을 받아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됐다. 그곳에서

 「견회요(遣懷謠)」 5수와 「우후요(雨後謠)」 1수 등 시조 6수를 지었다.


1년 뒤인 1617년(광해군 9) 경상남도 기장()으로 유배지를

 옮겼다가,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이이첨 일파가 처형된 뒤

풀려나 의금부도사()로 제수됐으나 3개월 만에 사직하고

 해남()으로 내려갔다. 그 뒤 찰방() 등에 임명됐으나

 모두 사양했다.1628년(인조 6) 별시문과() 초시에

 장원으로 합격해 봉림대군(인평대군(麟坪大君)

스승이 됐다. 그 당시 법률로 왕의 사부()는 관직을 겸할

 수 없음에도 특명으로 공조좌랑()·형조정랑()

·한성부서윤() 등을 5년간 역임했다.


 1633년(인조 1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예조정랑()·사헌부지평() 등을 지냈다. 그러나

1634년(인조 12) 강석기(姜碩期)의 모함으로 성산()의 현감()

으로 좌천된 뒤, 이듬해 파직됐다. 그 뒤 해남에서 병자호란으로 왕이

 항복했다는  소식을 접하자 이를 부끄럽게 생각하고 산이 깊고 물이

 맑아 아름다운 섬인 보길도(甫吉島)에 은거하였다. 정착한 그 일대를

 ‘부용동()’이라 이름하고 격자봉() 아래 집을 지어

 낙서재()라 했다. 그는 조상이 물려준 막대한 재산으로

 십이정각()·세연정()·회수당()·석실(

) 등을 지어 놓고 마음껏 풍류를 즐겼다.


난이 평정된 뒤 서울에 돌아와서도 왕에게 인사를 드리지 않았다는

 죄로 1638년(인조 16) 다시 경상북도 영덕()으로 귀양갔다가 이듬

해에 풀려났다. 이로부터 10년 동안 정치와는 관계없이 보길도

 부용동과 새로 발견한 금쇄동()의 자연 속에서 한가한 생활을

 즐겼다. 이때 금쇄동을 배경으로 「산중신곡(山中新曲)」·

「산중속신곡(山中續新曲)」·「고금영()」·「증반금(贈伴琴)」

 등을 지었다. 그 뒤 1651년(효종 2)에는 정신적 안정 속에서

 보길도를 배경으로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를 지었다.


다음해 효종(孝宗)의 부름을 받아 예조참의()가 됐으나

서인의 모략으로 사직하고 경기도 양주의 고산()에 은거했다.

마지막 작품인 「몽천요(夢天謠)」는 이곳에서 지은 것이다.

1657년(효종 8) 71세에 다시 벼슬길에 올라 동부승지에

이르렀으나 송시열(宋時烈)과 맞서다 관직에서 쫓겨났다.

 이 무렵 「시무팔조소()」와 「논원두표소

()」를 올려 왕권의 확립을 강력히 주장했다.


 1659년 효종이 죽자 예론문제()로 서인과 맞서다가 삼수에

 유배됐다. 1667년(현종 8) 풀려나 부용동에서 살다가 그곳 낙서재에서

 85세로 죽었다. 문집 『고산선생유고(稿)』에 한시문

()이 실려 있으며, 별집()에도 한시문과 35수의 시조,

 40수의 단가(어부사시사)가 실려 있다. 또, 친필로 된 가첩()으로

산중신곡』, 『금쇄동집고(金鎖洞集古)』 2책이 전한다.


정치적으로 열세에 있던 남인의 가문에 태어나 집권 세력인 서인에

 강력하게 맞서 왕권 강화를 주장하다가, 20여 년의 유배 생활과 19년의

 은거생활을 했다. 그러나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으로 화려한 은거

 생활을 누릴 수 있었고, 그의 탁월한 문학적 역량은 이러한 생활 속에서

 표출됐다. 자연을 문학의 제재로 채택한 시조 작가 가운데 가장

 탁월한 역량을 나타낸 것으로 평가받는다.


문학적 특징은 자연을 제재로 하되 그것을 사회의 공통적 언어

 관습과 결부시켜 나타내기도 하고, 혹은 개성적 판단에 의한

어떤 관념을 표현하기 위해 그것을 임의로 선택하기도 한 데에

있다. 또, 대부분의 경우 자연은 엄격히 유교의 세계관과 긴밀한

관련을 맺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그의 작품에서 자연과

직접적인 대결을 보인다든가 생활 현장으로서의 생동하는

자연은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그가 자연이 주는 시련이나

 고통을 전혀 체험하지 못하고 조상이 물려준 유산을 토대로

 풍족한 삶만을 누렸기 때문이다.정철(鄭澈)·박인로(朴仁老)

 함께 조선시대 3대 가인()으로 일컬어진다. 그러나

이들과는 달리 가사()는 없고 단가와 시조만

 75수나 창작한 점이 특이하다.

상훈과 추모

1675년(숙종 1) 남인의 집권으로 신원()

되어 이조판서가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고산유고기언고산연구』(이재수, 학문사, 1955)

「윤선도의 자연관」(윤성근, 『문화비평』7·8, 1970)

「윤고산론」(정병욱, 『월간문학』9, 1969)

「고려말·이조초의 어부가」(이우성, 『성균관대학교논문집』9,

1964)「송강과 고산의 시경」(최진원, 『성균관대학교논문집』3, 1958)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曲水堂(곡수당)과 홍예교 전경]


담 밑에 흐르는 물은 낙서재 오른쪽 골짜기에서
연못으로 흘러내리는데 이곳에 '日三橋(일삼교)'가 가설되어 있다.
부용동 팔경중의 '蓮塘曲水(연당곡수)'가 이곳이라한다.






[樂書齋(낙서재)]
고산은 인조 13년(1637)부터 1671년 죽을 때까지 일곱 번이나
이곳에 드나들며 글을 쓰며 생활 했는데 햇수로는 13년이나 되어
그의 흔적이 남아 있는 유적지가 많다.

세연정 모습입니다




세연정 연못의 연꽃입니다

세연정 부근 보길 초등학교 뒷편 돌담길입니다


 예송리 후박나무 숲입니다

 예송리 해수욕장입니다

 사자바위 섬입니다

 사자처럼 생겼지요?

통리 해수욕장 모습입니다

 보길도 바다의 낙조입니다

 보길도-노화도 주변에는 전복양식 뿐만 아니라 김,미역, 다시마 양식장도 많은데요 

보길도 세연정에는 세연지와 회수담, 판석보 등정자를주변으로

볼거리가 참 많다. 세연정 앞을 흐르는 물과 바위를 이용하여

연못으로 조성한 세연지 이곳은 주위에 거대한 바위가 즐비하게

늘어져 있으며 수면을 가득 메우고 있었다. 세연지에서 물을

끌여들여 인공으로 조성한 회수담세연정을 중심으로 맞은 편에

 세연지에서 물을 끌어들여 만든 연못으로 연못 가운데에는 작은

 섬을 만들고 주변에 나무를 심어 조성하였다.

판석보, 물막이 석보(石洑)다. 널판지처럼 얇고 넓은 돌을 세우고 판석

 위에 머릿돌을 올려놓았다. 세연지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우리나라 정원 유적 중 유일한 석조보라고 한다. 정자의 동쪽에는 좌우로 각각

 3층씩 석대를 쌍은 방대(方臺)가 있다. 이를 동대(東臺)와 서대(西臺)라고 한다.




바위와 흐르는 물로 조상한 세연지, 세연지 안에사투암, 혹약암 등이름 있는 바위가 7암으로 전해온다.


세연지에서 안으로 물을 끌어들여 인공으로 조성한 회수담

우리나라 정원 중에 유일하게 돌로 만든판석보

세연정의 옆에 단을 쌒아서 만든 동대, 맞은 편에 서대도 있다.


































































2016-06-04 작성자 명사십리

http://cafe.daum.net/enkamom/LQLU/312  孤山 尹善道의 숨결이 베인 甫吉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