歌の背景函

女坂から男坂-永井裕子///日本のお弁当

bsk5865 2013. 3. 7. 08:46

보낸사람: 소담 엔카 운영자 13.03.07 06:13

 

女坂から男坂-永井裕子///日本のお弁当(D)|★....演歌 게시판

黃圭源 | http://cafe.daum.net/enkamom/KTiH/2938 


女坂から男坂-永井裕子


女坂から男坂-永井裕子

作詞 喜多條忠 作曲 岡千秋


湯島の梅の 香りなら
あなたの襟に残るのに
さよならひとつ 残された
わからない わからない
女坂から男坂 わたしの恋は 迷い坂


厄除け守り 握りしめ
こころにそっと祈ります
あなたがいつか 戻る日を
いつまでも いつまでも
女坂から男坂 涙は今も 預け坂


女がひとり 生きてゆく
あなたを忘れて 生きてゆく
嫌です生きて ゆけません
好きだから 好きだから
女坂から男坂 こぼれる梅の ひとり坂


日本のお弁当

日本 도시락의 歷史는 無慮 平安時代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元來는 移動할 때 便하게 먹을 있도록 쩌서 말린 쌀을 작은 주머니에 넣어 가지고 다니던 것에서 由來되었는데 安土桃山時代에 꽃 놀이나 宴會 때 各種 料理를 찬합에 담은 도시락을 먹게 되었고 이것이 江戸時代에 크게 流行하면서 하나의 文化로 자리 잡았습니다. 日本人의 도시락 사랑은 도시락 통을 가리키는 영어단어가 日本語‘弁当(べんとう) 에서 由來된 ‘Bento’라는 点에서도 알 수 있습니다.

汽車驛에서 販賣하는‘駅弁(えきべん)’空港에서 販賣하는‘空弁(そらべん)’뿐만 아니라 百貨店 食品 賣場이나 便宜店에서도 多樣한 도시락을 販賣하며 職場人이나 學生이 있는 家庭에서는 点心 도시락을 싸는 것이 主婦들의 重要 日課中하나입니다.


花遊びお弁当

日本의 봄을 代表하는 風物詩인 꽃놀이.

이때 맛있는 도시락은 빼놓을 수 없는 요소입니다. 밥은 주먹밥이나 유부초밥처럼 簡便하게 먹을 수 있는 것이 좋은데 식초를 넣어 초밥으로 만들면 날씨가 따뜻해도 쉽게 상하지 않습니다. 반찬 亦是 튀김이나 조림 等 쉽게 상하지 않는 것으로 準備하는데 꼬치를 꽂아 하나씩 먹기 좋게 만드는 것이 포인트!

도시락은 들고 다녀도 飮食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칸막이가 있거나 여러 개로 나누어 넣을 수 있는 것을 選擇합니다.


キャラクターお弁当

밥과 짭짤한 반찬이 主가 되는 우리나라 도시락과 달리 日本의 도시락은 밥이 적고 싱거운 반찬을 많이 담기 때문에 多樣하게 演出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에게는 아기자기한 캐릭터 도시락이 人気인데 專門 料理책도 많고 인터넷에는 캐릭터 도시락 만드는 法을 共有하는 사이트가 있을 程度. 꾸미는 方法은 무척 多樣해서 가위로 김을 오린 후 핀셋으로 붙여 눈,코,입을 만들거나 材料를 틀로 찍어 模樣을 만들고 꼬치와 깃발을 使用해 粧飾하기도 합니다.

메인 캐릭터를 담은 後 나머지 空間에 반찬을 채워 넣는데 노란색의 달 갈,녹색의 브로콜리,朱黃色의 당근,빨간색의 방울토마토 等 多樣한 色깔의 材料를 예쁘게 配置하는 것이 重要합니다.

담을 때는 반찬 사이에 쿠킹포일이나 잎 菜蔬,硫酸紙 等을 깔거나 各各 실리콘 컵에 나누어 담아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합니다.


職場人 お弁当

한 說問調査에 따르면 日本 職場人 中 31.3%가 도시락으로 点心을 解決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日本의 不景氣와 密接한 關係가 있습니다.

日本 職場人의 한 달 용돈은 1990年(7万 7千 엔)부터 繼續 줄어들어 昨年에는 1981年(4万 833엔) 水準인 3万 9,756엔까지 떨어졌고 点心食事 時間도 1983年의 33分에서 19.6分까지 줄어 맛 보다는 되도록 簡單히 먹으려는 傾向이 强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最近에는 經濟的인 理由 外에도 健康과 다이어트를 爲해 直接 만든 도시락을 먹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다고.합니다.

職場人 도시락의 注意点은 1. 새지 않을 것,2.섞이지 않을 것,3.상하지 않을 것,4.식어도 맛있을 것!

반찬은 主로 조림이나 튀김,구이 等인데 군데군데 방울토마토나 브로콜리 等을 넣어 섞이지 않도록 固定합니다.

가장 重要한 点은 식어도 맛있어야 한다는 것! 튀김은 바삭 한 食疳을 維持하기 爲해 余分의 기름을 除去하고 材料를 북을 때는 버터 代身 植物性 기름을 使用 하는 것이 要領이라고 합니다.

作成者 黃圭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