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船恋唄-鹿島ひろ美 作詞 里村龍一 作曲 中村典正
一 俺が船ならおまえが港 めざせ遥かな 航海燈よ 海と陸とに 離れちゃいても 一本道だよ 男の恋は エンヤエンヤコラ 待っていろ 波の彼方に 浮かぶやつ
二 海の上には 酒場もないし まして女の 色気もないさ 腹におまえの 写真を巻いて 一本〆だよ 男の夢は エンヤエンヤコラ 逢いたいな 俺はおまえと 生きる船
三 海は荒くれ 気まぐれ坊主 なめてかかれば 命もないさ 沖の彼方に 夕陽が燃えりゃ 一本釣りだよ おんなの夢は エンヤエンヤコラ 惚れ通す 俺が倖せ くれてやる
日本最古の物語り評論書“無名草子”一 1200年에 쓰여진 것으로 보이는「無名草子(むみょうぞうし)」 無名(むみょう)라는 말은 책의 題目이 없었기 때문에 붙여진 것입니다. 當時에는「源氏物語(げんじものがたり)」나 「枕草子(まくらのそうし)」와 같이 宮闕을 素材로 多樣한 作品들이 쓰여지고, 宮中에 從事하는 女房(にょうぼう: 宮女)를 中心으로 널리 읽혔습니다.
草子(そうし)는 ‘かな로 쓰인 이야기와 日記 等’을 이르는 말로 「無名草子」는 그 런 글들을 읽은 女性들이 多樣한 意見을 나누고 整理한 作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源氏物語」의 登場人物과 各 卷에서 印象的이었던 場面,그 밖에도 當時 流行하던 多樣한 픽션과 歌物語(うたものかたり. 平安 前期에 發達한 物語의 一種으로 特定 和歌를 軸으로 이야기를 展開한 것 또는 그와 같은 짧은 物語나 說話를 모은 作品)나 歌集(かしゅう; 和歌를 모은 책),有名한 女性들의 삶의 方式 等에 對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女房は平凡な人ではない 女房라는 말은 지금은 아내 라는 意味로 쓰이고 있지만 8世紀부터 19世紀까지는 朝廷이나 貴族에게 從事하던 女性들의 總稱이었습니다. 流行에 敏感한 女房들은 멋진 感覺을 책으로 結集시키기도 하고「枕草子(まくらのそうし)」, 또 思慮 깊은 女房는 一大 長篇 이야기를 쓰기도 했으며(源氏物語) 文化的으로도 多樣한 活動을 펼쳤습니다. 「無名草子」에서는 女房 經驗이 豊富한 나이든 比丘尼와 젊은 女房들의 對話라는 形式을 通해 多樣한 ものがたり에 對한 批評과 女性論, 男性論을 펼치고 있습니다.
自尊心이 세고 재미있는 일에 敏感했던 ‘女房’들. 그女들이 만든‘業界 用語’는 오늘날의 日本語에도 影響을 미치고 있습니다. お00’라는 恭遜한 日本語 表現은 女房 들이 쓰기 始作한 말입니다.
반찬은 數(かす)가 많아서 ‘おかす’ 어묵(おてん)은 덴가구(でんがく;꼬치두부 等에 된장을 발라 구운 料理)라는 料理에서 온 말입니다. 방귀(おなら)는 엉덩이에서 뽕하고 울려서(鳴らす), 배(おなか)는 몸 가운데(中)에 있으니까, 비지(おから)는 豆乳를 짜고 난 大豆껍질(殻)이니까 等等…
그 當時의 最尖端을 누리던 女房들이 같은 女性이며 絶世美人이라고 불리던 小野小町(おののこまち)에 對해 이야기 하는 章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女房들의 이야기를 中心으로 小野小町의 人生에 對해 살펴 보겠습니다.
作成者 黃圭源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