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漢詩函

善人 君子를 꿈꾸며

bsk5865 2012. 3. 3. 08:52

보낸사람 : 소담엔카 운영자 12.03.03 08:29

 

善人 君子를 꿈꾸며 ***|⊙....일반 게시판

碧泉 | http://cafe.daum.net/enkamom/95QK/14480 


善人 君子를 꿈꾸며

*** 貞淑한 女人의 꽃 紫蘭

    君子之交 淡若水 [군자지교 담약수]
    小人之交 甘若醴 [소인지교 감약례]

    군자의 사귐은 물과같이 맑고 담박해서 오래 지속되며
    소인의 사귐은 단술과같이 달지만 오래가지않는다 [莊子]

    「君子の交わりは淡きこと水の若し。
    小人の交わりは甘きこと醴の若し。」

    肅宗代의 漢文學者인 三淵 金昌翕선생은 사람을
    人格과修養정도에따라 分類하되 제일 上位에 聖人을 두고
    차례로 大賢, 君子, 善人,俗人,小人순으로 배열하고

    * 도량이 좁고 간사한 小人 은 미워할 자요,
    * 학문이나 풍류를 모르는 俗人 은 고민스러운 자요,
    * 마음씨착한 善人 은 사랑스러운 자요,
    * 학덕이 높고 행실이 바른 君子 는 존경할 자요,
    * 학식과 덕망이 뛰어난 大賢 은 두려운 자이며
    * 孔子나 釋迦,예수같은 聖人 은 凡人들이 미치지못할
    자라고 하였습니다.

    中國 戰國時代의 哲人 孟子는 人間의 本性은 先天的으로
    착한데 惡은 나쁜 環境이나 物欲애서 생겨난 後天的인
    것이라고 主唱하면서[性善說]

    人間의 本性인 仁*義*禮*智 [인.의.예.지]에서 우러나는
    네가지 마음 즉

    惻恩之心 [측은지심]:
    남의 어려움을 보면 측은한 생각이 들어 도우려는 마음

    羞惡之心 [소오지심]
    악을 보면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

    辭讓之心 [사양지심]
    겸손하며 양보하는 마음

    是非之心 [시비지심]
    선악을 판단하는 마음

    을 四端이라하면서 사람은 누구나 人間의 本性인 착한
    마음을 길으고 닦으면 훌륭한 人格者가 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親愛하는 우리 벗님들의 序列은 어디쯤일까요.
    佛家에서는 옷깃만 스쳐도 前生의 因緣이라하거늘
    우리는 晩年의 쉼터인 [素潭마을]에서 情誼를 쌓아가는
    이웃이기에 서로 理解하고 容恕하며 베풀고 感謝하며
    서로를 配慮하고 讓步 하면서 지금부터라도 작은
    功德이라도 하니씩 쌓아나가 大賢 聖人은 못되더라도
    小人 俗人의 領域 은 벗어나서 善人 君子의 班列에
    오르도록 努力해봅시다. !

    壬辰年 孟春 *** 碧泉


    * 德不孤 必有隣 *

    덕을 베푸는 자는 이웃이 있어 외롭지 않으리라***孔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