歌の背景函

侍ニッポン-村田英雄///歌の背景

bsk5865 2013. 3. 11. 19:29

보낸사람 : 소담 엔카 운영자 13.03.11 06:26

 

侍ニッポン-村田英雄///歌の背景(D)|★....演歌 게시판

黃圭源 | http://cafe.daum.net/enkamom/KTiH/2977 

MP3 ダウンロード


侍ニッポン-村田英雄

作詞 西条八十 作曲 松平信博 元唱 徳山璉


人を斬るのが 侍ならば
恋の未練が なぜ斬れぬ
伸びた月代(さかやき) さびしく撫でて
新納鶴千代 にが笑い


昨日勤王 明日は佐幕
その日その日の 出来心
どうせおいらは 裏切り者よ
野暮な大小 落とし差し


流れ流れて 大利根越えて
水戸は二の丸 三の丸
おれも生きたや 人間らしく
梅の花咲く 春じゃもの

セリフ
大利根の流れよ去らば
大江戸の雪を 血汐で
染める時が来た


命とろうか 女をとろか
死ぬも生きるも 五分と五分
泣いて笑って 鯉口切れ
江戸の桜田 雪が降る


歌の背景

이 노래는 1931年 日活 映画에서 製作한”侍ニッポン”의 主題歌입니다.
郡司次郎正(ぐんじ じろまさ)의 小説를 映画化한 것으로 主演은 大河内伝次郎(おおこうち・でんじろう)입니다.

이 映画는 以後에도 阪東妻三郎 田村高廣 東千代之介 三船敏郎를 主演으로 하여 모두5回가 映画化되었습니다.

映画의 줄거리는 映画化할 때마다 조금씩 다름니다 만 1957年의 田村高廣(たむら たかひろ)의 主演 版에서는 다음과 같이 되여 있습니다.

幕府 末期에 彦根藩主 井伊直弼(いい なおすけ)의 私生兒(落胤=らくいん)로 태어난 新納鶴千代(しんのうつるちよ)는 그 事實을 모르고 成長하고 어머니와 함께 江戸로 나와 剣術을 배웁니다.

菊乃라는 女性과 사랑하는 사이가 되지만 門閥이 다르다는 理由로 相對便 父母로부터 結婚을 拒絶 當합니다 이것이 契機가 되어 自身의 出生에 疑惑을 가지게 된 鶴千代는 親舊 竹之介의 誘惑으로 料亭을 드나들며 술로 나날을 보내게 됩니다.

거기에 竹之介는 水戸의 流浪 武士들의 尊皇攘夷思想(そんのうじょういしそう)에 끌립니다만 그들의 過激한 行動에는 마음이 끌리지 않아 그들과 같이 할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 水戸의 流浪 武士들이 “異人館의 火攻”에 失敗했을 때 背信者로 疑心은 받게 되고….

이것을 挽回하려고 鶴千代는 単身으로 大老가 되어 있는 井伊直弼를 襲擊하지만 逆으로 붙잡히고 맙니다 그러나 直弼은 愛国의 至情과 開国의 必要性을 찬찬히 說明하고 鶴千代는 直弼의 말에 說得됩니다.

直弼의 隱密히 鶴千代를 放免합니다만 鶴千代는 홀로 살아갈 수 없는 絶望感에서 紅燈街의 誘惑으로부터 自身의 넔을 빼앗기고 妓生 吉次와 깊은 사이가 됩니다.

吉次와 해어지게 하기 爲해 鶴千代의 어머니는 井伊直弼가 鶴千代의 生父임을 밝힙니다만 鶴千代는 一瞬 벙벙해지면서 “지금에 와서……”라고 중얼대며 쌀쌀하게 받아 드릴 뿐입니다.

드디어 竹之介 等 水戸 流浪 武士들이 井伊直弼를 襲擊하는 날이 다가왔습니다 이것을 안 鶴千代는 아버지를 救하기 爲해 눈(雪)을 박차고 桜田門外(さくらだもんがい)로 向합니다.

싸움은 이미 始作되었고 自己의 이름을 부르는 子息의 목소리에 直弼은 엄겹결에 가마에서 내리자마자 流浪 武士의 칼레 가슴이 찔리고 急히 달려온 鶴千代도 竹之介의 剣에 쓰러집니다 두 사람의 屍身 위에는 눈이 내리고 있었습니다 ……

映画도 主題歌도 大衆的인 作品입니다만 戦前에는 많은 인텔리겐차(intelligentsiya)들이 共感을 내 보였습니다.

이 時代에는 共産主義思想에 끌리는 인테리(egghead)도 적지 않았습니다만 그 大部分은 心情的인 支持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共産主義者로서 活動하는 것은 勿論 支持를 表明하는 것 마저 도 團束이 厳했기 때문입니다.

또 思想的으로는 鄭重하게 가르쳐도 共産党員들의 過激한 行動에는 嫌悪感을 나타내는 사람도 많았습니다 더욱 共産主義者가 된 사람도 高等警察의 弾圧에 転向하는 者도 있었습니다.

転向이란 共産主義를 抛棄하고 그 反対인 国家主義나 民族主義 等에 몸을 맡기는 意味의 思想用語입니다.

主題歌 2番의 “きのう勤王、明日は佐幕””どうせおいらは裏切り者よ”라는 歌詞에는 左翼 인테리(egghead)가 흔들리는 心情을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郡司次郎正(ぐんじ じろまさ)는 “水戸の志士は薩長志士より単純で、今の左翼小児病みたいなものだったろう。そういう教条主義についていけない裏切者が出てきて、それに、侍の宿命観のようなものをあしらえばウケると思った”라는 趣旨의 文章을 지은 적이 있어 当時의 인텔이의 心情을 意識한 作品만들기란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다시 말해 文芸 評論家 尾崎秀樹(おざき ほつき)에 依하면 이 小説의 모델은 共産党 同調者로 官憲에게 封鎖된 新納時千代라고 하는 人物이었다고 합니다 郡司는 作家 村山知義(むらやま ともよし)의 資料収集을 돕고 있을 때에 그 人物을 서로 알고 있었습니다.

한便 新納는 노래에서 “しんのう”로 읽는 것이 定着되어 있습니다만 正確하게는 “にいろ=닮아 있어라” 입니다 “しんのう”로 된 것은 레코드에 吹入할 즈음 歌手인 徳山璉(とくやま たまき)가 바르게 읽는 法을 몰랐거나 아니면 부르기가 어려워 그대로“しんのう”로 하였다는 말이 伝해지고 있습니다.

1節에서 “月代”는 江戸時代에 成人男子가 얼굴에서 머리 꼭대기까지 면도질 하는 것 또는 면도질한 部分을 말하며

2節에서 “落とし差し”는 칼집을 내려 손잡이를 가슴 쪽으로 가까이 하는 것으로 칼은 地面과 水平 가까이 하는 것으로 마주앉는 姿勢를 “かんぬき差し”라고 합니다 大部分의 武士는 両者의 中間 정도를 沢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落とし差し”에서의 長点은 맞은便에서 일어나는 不意의 狀況에 對處하수 있다는 점입니다.

3節에서 “二の丸” 는 本丸(天守閣이 있는 場所)의 바깥 部分으로 “三の丸”는 더 더욱 바깥을 말합니다.

4節에서 “鯉口” 는 칼집 入口로 “鯉口を切る”는 칼을 칼집에서 약간 뽑은 狀態로 바로 칼집에서 뽑을 수 있게 해두는 것을 말합니다.

作成者 黃圭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