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男のろまん- 歌川二三子 作詞 合田道人 作曲 合田道人
一 運がころがりゃ 出番がくるさ それまで待ってろ 自分を磨け そんな心で 今日まで生きた 男人生 ろまんが勝負 後ろ向くより 前見て進め
二 なんでこんなに 泣かせてくれる 世の中ってやつは きびしいもんさ たけど振り向きゃ お前の笑顔 男人生 ろまんが勝負 夫婦劇場 浮き草暮らし
三 やると思えば とことんまでと 故郷(くに)を出るたきゃ 自分に決めた 夢がでかけりゃ それだけつらい 男人生 ろまんが勝負 花が咲くまで 笑っているよ
松尾芭蕉の俳句が浮び上がる 山形県 山寺 一 江戸時代의 有名한 俳句 名人 ‘松尾芭蕉(まつおばしょう)’그는 東北地方을 旅行하며 代表作인 ‘奥の細道(おくのほそみち)’를 썼습니다. 이번에는 松尾芭蕉의 痕跡을 좇아 東北地方의 山形県에 있는 산사 ‘山寺(やまでら)’로 가보겠습니다.
올해 여름은 7月부터 8月 中旬頃까지 비가 오거나 흐린 날이 많아서 쨍쨍 내리 쬐는 햇볕, 푸른 하늘과 소나기구름이라 는 이미지와는 거리가 먼 여름이었습니다. “아, 덥다!"는 말이 들리게 된 것은 겨우 8月 中旬을 지나서부터입니다.
到處의 푸른 숲에서 들려오는 여름의 알리는 떠들썩한 매미 소리를 듣고 있자니, 매미를 主題로 한 松尾芭蕉(1644~1694년)의 有名한 俳句가 생각났습니다.
‘閑さや岩にしみ入蝉の声(고요함이여 바위에 스며드는 매미 소리)’올 여름의 追憶거리로, 이 俳句가 쓰여진 東北地方의 山形県 山寺로 가기로 했습니다.
奥の細道 여러분 中에는 松尾芭蕉의 『奥の細道』를 알고 게신 분도 많이 게시겠지요 江戸時代(1600年頃~1867年) 初期에 쓰여진, 日本의 古典 中에서 代表的인 紀行書입니다. 俳句의 名人이라 불리는 芭蕉의 著書 中에서도 가장 有名한 作品입니다.
芭蕉는 1689年 5月 中旬에 弟子인 河合曾良(かわいそら)와 함께 江戸를 出發 하여 東北地方을 中心으로 2,400km 程度의 距離를 約 半年에 걸쳐 旅行했습니다. 그 期間 동안 보거나 들은 것을 著述한 것이 『奥の細道』입니다. 여기에서 ‘奥’는 奥州 (지금의 東北地方)를 가리킵니다. 日本의 中高等學校 國語 敎科書에서 반드시 배우는 作品입니다.
明暗を分けた仙山線の旅 東京駅에서 宮城県 仙台市의 仙台駅까지는 JR東北新幹線 約2時間15分. 仙台에서 JR仙山線으로 갈아 타고 山形県 山形市의 山寺駅으로 向했습니다. 列車는 仙台駅을 出發하여 西쪽 方向으로 向합니다. 線路 周邊은 한동안은 仙台市의 通勤, 通学圈의 住宅地 風景이 이어지지만,20分程度가니 山과 田園風景이 펼쳐지기 始作했습니다.
線路를 따라 큰 江이 흐르고 鐵橋에서 내려다보이는 峽谷은 무서울 程度로 깊이가 깊습니다. 여름放學의 家族旅行으로 온 사람 들이 많아서,“すごい!”“きれい! " 라고 하는 아이들이 소리 지르는 것이 들려옵니다.
그런데,저에게는 仙台를 出發했을 때부터 줄곧 걱정하고 있던 것이 하나 있었습니다. 바로 날씨입니다. 첫머리에 선 듯이 올 여름은 全國的으로 날씨가 不安定 한데, 特히 東北地方은 日氣豫報에 따르면 ‘今年は夏はなくてこのまま秋に入る’라고 할 程度입니다. 이날도 아침부터 하늘이 잔뜩 흐려서 금방이라도 비가 내릴 것 같습니다.
‘비 오는 산길을 걷자니 最惡이야. 寫眞도 잘 안 찍힐 것이고’라고 생각하며…… 景致를 봤다가 하늘을 봤다가 하는 不安한 心境이었습니다. 仙台駅을 出發해 50分쯤 되자, 列車는 긴 터널로 들어갔습니다. 奥州山脈을 가로지르는 ‘仙山トンネル’입니다. 드디어 어둠을 빠져 나와 하늘을 보니,여름다운 푸른 하늘과 흰구름! 터널을 나와 約 5分 지나서 列車는 山寺駅에 到着 했습니다. 仙台에서 꼭 한 時間 걸렸습니다.
作成者 黃圭源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