演歌みち-岡 千秋 作詞 吉岡 治 作曲 岡 千秋
一 爪先あがりの この坂を 誰が 名づけた 浮世坂 風が背をおす 日もあれば 雨が胸つく 肩たたく しんどいネ そりゃましんどいけれど エンヤコラ このみち 演歌みち
二 人間 生きてりゃ 誰にでも いつか 身につく 垢もある 責めてくれるな はしご酒 捨てちゃいないさ 夢だけは しゃないネ そりゃましゃないけれど エンヤコラ このみち 演歌みち
三 明日は明日の 風が吹く 惚れてふられて また惚れて はぐれ鳥にも いつの日か 待てば日和の 春もあろ しんどいネ そりゃましんどいけれど エンヤコラ このみち 演歌みち
演歌とは 日本의 流行歌의 一種으로. 노래로 意見을 말한다고 하는 意味로, 「演說」에 対応하는 말로 明治中期부터 使用되었습니다.
思想을 노래를 빌어 思想을 表明하는 것은 예부터 行해져 왔지만, 植木枝盛(えもり) 作『民権田舎歌(いなかうた)』나 安岡道太郎作『よしや武士(ぶし)』와 같이「数え歌」나「どどいつ」 旋律에 依支하는 것은 演歌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따라서 演歌의 嚆矢(こうし)는 川上音二郎 作『オッペケペー』가 됩니다.
1889年(明治22)가 저물어 갈 때(年末)에 만들어진 이 노래는, 京都・新京極의 寄席(よせ= 演藝場)에서 公開되자 마자, 금새 京都市民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政府의 施策을 非難 하는 일 없이, 自由와 民權의 伸張을 平易하게 말하는「オッペケペー」는, 여러 해에 걸치는 川上의 反権力闘争의 成果라고 할 수 있지만, 다음 해에 民族思想 宣傳을 爲해 始作한 壮士芝居을 引率해 上京한 川上一座의 公演에 依해서, 横浜, 東京에서도 流行하기 始作했습니다.
絶頂에 이른 것은 91年6月 以後입니다. 歌詞의 内容과 리듬을 重要하게 하는 것만으로, 一定한 旋律을 갖지 않는 이 노래는, 音楽的으로는 朗讀法(declamation)라고 합니다.
日本의 俗謠나 民謠曲 以外, 流行歌가 全無에 가까웠던 当時의 民衆에게는, 누구나가 容易하게 흥얼거릴 수 있는『オッペケペー』는, 民衆娯楽의 新分野를 形成하게 되었습니다.
東京에 모이는 壯士 속에는, 川上를 흉내 내 街頭에서 放歌高吟 하면서, 이 歌本을 팔아 生活의 糧食(食糧)을 얻는 사람이 나타납니다. 「ヤッツケロ節」「欽慕節(きんぼぶし)」「ダイナマイトドン」 等 同類의 노래도 만들어졌지만, 政府를 弾劾하는 歌詞도 있고, 자주 官憲의 弾圧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壮士의 노래에「演歌」란 이름을 씌우는 一団도 있었지만, 世上에서는 一般的으로「読売」나「壮士歌(うた)」라고 읽었습니다. 그런데 壮士의 大部分은 書生(學生)이며, 「法界節(ほうかいぶし)」「日清(にっしん)談判破裂」을 月琴(げっきん)으로 흘렸으므로, 壮士노래는 오히려「書生節」이라고 하는 名称으로 사랑 받게 되었습니다.
그 當時, 검은 천의 着物에 編笠(あみがさ)를 쓰고, 엷은 化粧으로 아가씨들의 歓心을 사려고 하는 書生들의 行爲가, 社會 問題로서 큰 波紋을 일으켰습니다.
添田唖蝉坊(そえだあぜんぼう)가, 社会主義的인 노래를 만들었던 것도 이 時代입니다. 1910年代가 되면서, 東京의 神長瞭月(かみながりょうげつ)와 大阪의 中林武雄의 노래가 칭찬받아「残月一声」「松の声」「不如帰(ほととぎす)」等이 選好되었습니다.
이윽고 바이올린이 利用되면서, 새로운 楽器에 이끌려 書生節의 周辺을 聴衆이 몰려들게 됩니다. 大正中期, 「一かけ節」나「七里ヶ浜の仇浪(あだなみ)」(真白き富士の嶺(ね)가 全国에 퍼질 무렵, 書生節의 歌手는「演歌師」라고 불려지기 始作해 映画의 힘과 함께「船頭小唄(こうた)」나「籠(かご)の鳥」가 一世를 風靡했습니다.
1930年代가 되어 레코드 歌謠에 人気가 모이면서, 書生節은 消滅되고 「歌謡曲」이 台頭해, 東海林太郎、音丸、上原敏 等이「流行歌手」로 誕生합니다. 또 레코드会社 専属의 作詞家로서 西条八十、佐伯孝夫、藤田まさと 作曲者로서 古賀政男、古関裕而、大村能章 外에 多士済々.그리고 1960年(昭和35) 戰後에「演歌」가 復活합니다.
美空ひばり를 始作으로 島倉千代子、春日八郎、三波春夫等, 多數의 歌手가 出現해, 그 歌声은 民衆의 靈魂을 흔들어 黃金時代를 形成했습니다. 外国 팝스의 流行에 따라, 이를 日本調의 歌謡曲을 演歌라고 합니다만, 第1次 오일 쇼크(1973)를 境界로 歌謡曲은 演歌와 뉴 뮤직으로 二分되었습니다.
이러한 用語의 変遷이나 歌詞는 노래하는 方法에 注目할 때, 오늘의 演歌는, 日本的인 土壤에 立脚한 歌声이라고 定義할 수 있습니다. 70年代 以後에도, 北島三郎、森進一、五木ひろし、細川たかし、都はるみ、水前寺清子、八代亜紀、小林幸子、石川さゆり 等의 歌手가 活躍해 演歌를 支撐하고 있지만, 歌謡曲의 새로운 多樣化, 演歌 팬 層의 高齡化 等에 依해, 歌謠曲 分野에 차지하는 演歌의 자리 매김은 相對的으로 低下되고 있습니다.
作成者 黃圭源 | | |